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이용수  172

영문명
A Study on a Method of ‘After Reading’ Strategy for Writing Construction of College Korean Learner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윤자(Lee,Yun-Ja)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16호, 241~2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 진학 후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어 기존보다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의 한국어 학습을 받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로 분류하고, 그 중 교양 교과과정의 한국어를 ‘교양 한국어’라 한다. 본 연구는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해 선행적 읽기의 전략적 방안을 연계하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 기능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통해 작문을 지도하는 것은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읽기 교육이 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쓰기 교육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된다.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을 적용한 작문 구성의 교육은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한 후, 선정된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맞는 읽기 후의 전략을 이용하여, 쓰기 전 단계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진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읽기 후 전략들은 작문 구성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이전 습득 지식을 기억하고, 작문의 아이디어를 생성하며, 작문의 내용을 조직해서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영문 초록

Korean learners have a system to some ext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thereby coming to receive the Korean learning in a little more deepened contents than before. This course is classified in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Korean education. Out of it, General Academic Purpose in the curriculum is called ‘College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nect a strategic method of proactive reading for the writing construction in college Korean learners. Teaching composition through a complementary role in the reading and writing function can maximize a teaching-learning effect. Also, the reading education can may develop the writing ability. The writing education improves the reading ability. Hence, it become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writing-construction eduction using the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is progressed wit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the stage before writing by using a strategy after reading in line with a learner s writing level through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 after seeking an effective teaching model. The strategies after reading, which are used at this time, are properly applied to the writing construction, thereby allowing a learner to remember the previously-acquired knowledge, to create an idea of writing, and to possibly express by structuring the writing content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전제와 관련 범주
3.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단계의 전략 방안
4. ‘쓰기 전’ 단계의 작문 구성 준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자(Lee,Yun-Ja). (2016).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 241-273

MLA

이윤자(Lee,Yun-Ja).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2016): 241-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