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pirical Writing for Writing Motivation - Focusing on the Students Majoring in Ar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영란(Lee, Young-Ra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16호,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생들이 대학 글쓰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미술대학 학생들이 체험을 통해 글쓰기를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과 자신의 전공에 맞는 예술적 이입의 과정도 함께 경험하여 글쓰기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체험한 사실을 토대로 글쓰기를 하는 방법이 바로 체험적 글쓰기이다. 학생들이 지역의 문학, 역사, 철학, 예술 현장을 체험해보고 그 결과로 글쓰기를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 보는 방법을 알게 한다. 딜타이의 체험적 인식이 예술의 창조 즉 예술은 삶의 경험 속에 발생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미술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수업시간에 광주 예술문화 유적을 답사하고 그것을 통해 예술적 감응이나 영감에 대해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체험 전 글쓰기는 단순 조사나 타인의 생각을 전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후 미술대학학생들에게 직접 공간으로 들어가 체험하고 그에 대한 감응을 글로 옮기게 하여 예술적 감응으로 연계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기는 쉽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글쓰기 전에 그림을 그려보고 글쓰기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자신의 작품에서 전달하고자하는 예술적 감응 내지는 영감을 글로 써 봄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전달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예술문화유적을 예술계열 학생뿐만 아니라 타계열 대학생들에게도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how to motivate college students to develop an interest in writing. In particular, it explains how to create easy access to writing through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artistic introduction to writing according to a student s major.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education of writing based on what students experience. Students write what they think while visiting places known in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 Based on the Dilthey theory that art is created from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d opportunities to visit artistic, cultural and historical places in Gwangju for art college students and asked them to write about what they felt and how they were inspired. Before the experience, their writing delivered only the results of simple surveys or others thoughts. Then, after the subjects visited the places presen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write what they felt and thought. However, it was not easy to achieve the goal of connecting their writing to an artistic response. So, they were induced to draw pictures before they wrote and then they were asked to write again. This was intend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acquire how to clearly deliver their thoughts in their writing of artistic responses or had inspiration on what they wanted to deliver in their writ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art, cultural and historical relics in this community should be used for writing education with other college students as well as art college students.
목차
1. 머리말
2. 체험적 글쓰기 수업 준비 과정
3. 체험적 글쓰기와 교육적 효과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 ‘읽기-토론-쓰기’의 연계적 수업에서 글쓰기 학습자의 수용 양상 연구
- 대학 글쓰기 주제 선정 현황과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글쓰기 동기 부여를 위한 체험적 글쓰기
-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삶을 반영하는 자전적 쓰기 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글쓰기 평가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 글쓰기 선진화 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 A Methodology of the Cognitive Research and the Education of the College Writing
-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