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팸 스코어카드 개발을 위한 문항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Study on the Questionnaire for Developing the Spam Score Card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정형철(Hyeong Chul Jeo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5 No.1, 133~14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팸체감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들 지표를 측정하는 여러 항목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변수를 Cronbach 알파계수로 선택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우선, 스팸체감 정도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섯가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크게 (1) 체감 수신량 (2) 증감체감정도 (3) 스팸 인지 (4) 스팸 감정 (5) 스팸 행동의 5대 항목이다. 여기서, 체감 수신량은 1개의 항목, 증감체감정도는 2개의 항목, 심리적 태도는 각각 3개의 소항목을 지닌다. 개발된 설문문항의 계량적 측정을 위해 리커트 척도화 과정을 거쳐 각 항목의 최대값이 50점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계량적 측정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고 어떤 문항이 중요한 문항인가의 판단과 더불어 문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ronbach 알파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중요도-상관도 그림을 통해 다섯 가지 항목의 포지셔닝을 살펴보았다. 중요도-상관도 그림을 통해 휴대전화 스팸에서는 감정부분이 이메일 스팸에 비해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spam feel index and to find the leading variable for the indicators by using the Cronbach’s alpha values. First, we defined the characters of spam feel index which is organized into 5 indicators including feel receive amount, variation feel degree, re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The concept of feel receive amount is composed of one sub-item, concept of variation feel degree is two sub-items, and concept of psychological attitude is three sub-items. Each indicators made the grade the values of questionnaire measured by Likert scale on a scale of 50 points. Next, we compute the Cronbach’s alpha to find the characters of spam feel index and to assess the content validity. Finally, in cell phone spam case, the feel emotion indicator is located on the high position than email-spam case based on average-correlation plot.
목차
1. 서론
2. 체감 지표 구성
3. 문항분석
4. 지표별 연관성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ource of Nonlinear Linkage between U.S. Housing Returns and the Federal Funds Rate
- 연관성 규칙 수의 결정을 위한 비선형 회귀모형의 비교에 관한 연구
- 성격유형과 삶의 질 연관성에 대한 남녀의 교차타당성 검증
- 시간가변 허스트 지수 분석을 통한 브릭스 주식시장의 효율성 변화
- 스팸 스코어카드 개발을 위한 문항 분석
- 대장암 환자의 교육 이해도와 교육 요구도
- 우리나라 국세징수활동의 학습효과 및 비용함수 추정
- Y세대 대학생들의 대학급식 만족도, 급식충성도,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지시적 심상요법이 관상동맥 질환자의 스트레스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자연휴양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계획 예측요인
- KOSPI 200 장중 점프의 탐색과 점프 전ㆍ후의 지수 행태분석
- 복합 주변조건부 변수를 고려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순차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선형회귀모형에서의 이상치 탐색방법들의 비교 연구
-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성인 흡연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
- 역수요함수를 이용한 담배적정가격 추정에 관한 연구
-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검사 전 불안 수준과 신체적 변화
-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 영향요인
- 온라인 게임 이용동기와 자기표현욕구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Memory-Based Reasoning Classifier
- 기업생명표 작성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뮤추얼펀드 수익률의 통계적 특성
- 붓스트랩을 이용한 다중비교
- The Residual Approach of Variance Decomposition for Stock Returns: A Critique
- Price Convergence across Cities in Korea
- Estimation for the Exponentiated Half Logistic Distribution Based on type I Hybrid Censored Samples
- 5개 광역시 동계 전기난방기기 보급 및 사용량
- Test Using Profile Empirical Likelihood Ratio with the Least Squares Estimator
-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기혼 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에 관한 연구
- 건강관리서비스 종사요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빅데이터 기반의 오피니언 마이닝 활용 연구
- 다분상관계수를 이용한 한의학에서의 성격 척도의 요인분석
- 지방 중소도시의 정비사업 추진실태 및 특성분석
-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축제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 A Nonparametric Test for the Multivariate Data using the Permutation Principle
- 한국판 음주 접근ㆍ회피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 고등학생 성장발달자산의 물질남용에의 영향
- 생활기술훈련을 적용한 인터넷게임중독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 Exact Inference for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 Return Levels of Maximum Temperature in Busan, Korea
- 예상 온열감 반응 기반 온열 쾌적감에 따른 자율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반응
- 오쿤의 법칙의 응용을 통한 실업률과 경제성장률과의 장기적 균형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네트워크 텍스트분석을 통한 치매대상자 인간중심돌봄 연구 경향 분석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외부 정보를 반영한 신경망 토픽모형을 이용한 아마존 리뷰 분석
- 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2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