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분상관계수를 이용한 한의학에서의 성격 척도의 요인분석
이용수 18
- 영문명
- Factor Analysis of Personality Measure in Oriental Medicine using the Poly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동상옥(Sang Oak Dong) 이시우(Siwoo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5 No.1, 145~1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요인분석은 순서형(ordinal), 범주형(categorical) 등의 자료들을 연속형(interval) 변수로 판단하거나 정규성을 만족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성격설문1은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분(polychoric) 상관계수를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성격설문1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요인분석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문항수와 항목은 달랐지만 두 방법 모두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하지만 다분상관계수를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이 변량의 설명력을 7.653% 더 높게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Typically, factor analysis use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ut, factor analysis has problems that think of order and categorical as interval variable and should assume normality. Personality questionnaire 1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an have these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oly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ested the validity of personality questionnaire 1. In addition, method using the poly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tho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mpared.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questions and the items were different. However, both method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poly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explained 7.653%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metho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ource of Nonlinear Linkage between U.S. Housing Returns and the Federal Funds Rate
- 연관성 규칙 수의 결정을 위한 비선형 회귀모형의 비교에 관한 연구
- 성격유형과 삶의 질 연관성에 대한 남녀의 교차타당성 검증
- 시간가변 허스트 지수 분석을 통한 브릭스 주식시장의 효율성 변화
- 스팸 스코어카드 개발을 위한 문항 분석
- 대장암 환자의 교육 이해도와 교육 요구도
- 우리나라 국세징수활동의 학습효과 및 비용함수 추정
- Y세대 대학생들의 대학급식 만족도, 급식충성도,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지시적 심상요법이 관상동맥 질환자의 스트레스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 서열프로빗 모형을 적용한 자연휴양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계획 예측요인
- KOSPI 200 장중 점프의 탐색과 점프 전ㆍ후의 지수 행태분석
- 복합 주변조건부 변수를 고려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순차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선형회귀모형에서의 이상치 탐색방법들의 비교 연구
-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성인 흡연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
- 역수요함수를 이용한 담배적정가격 추정에 관한 연구
-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검사 전 불안 수준과 신체적 변화
-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 영향요인
- 온라인 게임 이용동기와 자기표현욕구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Memory-Based Reasoning Classifier
- 기업생명표 작성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뮤추얼펀드 수익률의 통계적 특성
- 붓스트랩을 이용한 다중비교
- The Residual Approach of Variance Decomposition for Stock Returns: A Critique
- Price Convergence across Cities in Korea
- Estimation for the Exponentiated Half Logistic Distribution Based on type I Hybrid Censored Samples
- 5개 광역시 동계 전기난방기기 보급 및 사용량
- Test Using Profile Empirical Likelihood Ratio with the Least Squares Estimator
-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기혼 여성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에 관한 연구
- 건강관리서비스 종사요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빅데이터 기반의 오피니언 마이닝 활용 연구
- 다분상관계수를 이용한 한의학에서의 성격 척도의 요인분석
- 지방 중소도시의 정비사업 추진실태 및 특성분석
-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축제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 A Nonparametric Test for the Multivariate Data using the Permutation Principle
- 한국판 음주 접근ㆍ회피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 고등학생 성장발달자산의 물질남용에의 영향
- 생활기술훈련을 적용한 인터넷게임중독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 Exact Inference for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 Return Levels of Maximum Temperature in Busan, Korea
- 예상 온열감 반응 기반 온열 쾌적감에 따른 자율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반응
- 오쿤의 법칙의 응용을 통한 실업률과 경제성장률과의 장기적 균형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네트워크 텍스트분석을 통한 치매대상자 인간중심돌봄 연구 경향 분석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외부 정보를 반영한 신경망 토픽모형을 이용한 아마존 리뷰 분석
- 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2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