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실업률 추정에 관한 소고
이용수 7
- 영문명
- A Note on the Estimation of NAIRU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양준모(Joon-Mo YA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1 No.5, 2613~26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자연실업률을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1970년 1사분기에서 2008년 2사분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연 실업률을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를 비교한 결과 비관측인자모형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하는 값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HP 필터의 경우는 λ의 값에 따라 추정결과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비관측인자모형은 AIC 값에 의해서 비교 평가될 수 있으나 모형설정에 따라 평가결과가 민감하게 변화한다. AIC의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다변량비관측인자모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모형으로 계측된 NAIRU가 HP 필터로 계산된 NAIRU 보다 평활성 등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추정값을 비교하여 통일된 자연실업률의 추정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며, 연구자의 선택이 결과에 많은 차이를 야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various methods of estimating NAIRU. Even though the concept of NAIRU is simple and convincing, the estimation of NAIRU is very difficult.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its estimation. The paper evaluates HP filters, univariate state space models with various specifications, and multi-variate state space models. From the empirical studies on NAIRU, the paper finds that the multivariate state space model give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AIC.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imated NAIRUN is not better than those of the HP filtered one. Therefore the choice of the estimation method is very important issues to be tackl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HP 필터를 이용한 자연실업률의 추정
3. 비관측인자모형을 사용한 NAIRU의 추정
4. 다변수 비관측인자모형에 의한 NAIRU의 추정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 경제활동인구에서 인터넷뱅킹 이용자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성장기회와 부채비율 간의 관계 분석
- 사무소 건축물의 공조시스템 리모델링을 위한 CWM의 중요도 분석
- 관광지 선택요인에 의한 동부산관광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 올림픽 10종경기 기록에 관한 분석
- 중국의 수출성과와 FDI 유입에 대한 분석
- 축구선수의 경쟁불안 비교연구
- 자연실업률 추정에 관한 소고
- 국가수준 중학교 수학과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문항반응 분석
- DB-DC CVM을 이용한 BEXCO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지속유형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교육 커뮤니티를 통한 교사들의 지식공유 행동 결정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 국내 발전회사의 수익과 투입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부산시 표준지 공시지가 변화추이 분석 연구
- 균형조절치료가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통증 및 CPK에 미치는 영향
- The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 검사 및 LCSI-C 검사와의 관계
- Forecasting Volatility of Korean Futures Market
- 생물계통수 추정을 위한 최대가능도와 베이즈 추론법의 비교
- 흥미도 측도로서의 오즈비와 상대적 위험도에 대한 탐색
- 여성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허영유형에 따른 성형요구분석
- 충동성과 강조조건이 속도-정확성 교환작용에 미치는 영향
- Short And Long Term 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US And Eastern Asian Stock Markets
- 부하의 상사신뢰에 상사행동특성의 인지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Nurses on Egogram
- 연관불균형과 분할표의 관계에 대한 평가
-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역에서 PM10과 사망자수에 대한 연구
- 신용평점에서 성김화에 대한 스플라인 방법과 대화식 그룹핑의 비교
- Analyze Cervical Cancer Relapse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안면마비 완화교육이 안면마비환자(Bell’s Palsy)의 안면마비상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An Analysis of Channel Distribution Efficiency in the Korean Insurance Market : Single versus Multi-Channel
-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KOSDAQ지수선물의 거래 부진에 관한 연구
- 우측중도절단 자료에 의한 처리효과의 추정
- 보건계열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건강증진행위 비교
- 대학 공동연구 프로젝트 관계 자료를 활용한 지식네트워크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rsity and Top-N Recommendation in the Recommender System
-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urses
- A Note on the Modified Chebyshev Design in the Polynomial Regressions
- 밀도분포에 의한 부산의 다핵공간구조 변화 특성 분석
- 상대적 운동강도가 척수앞뿔 손상쥐에서 NT-4/5와 IL-6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산욕초기 산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산후 우울
- 생산성 제고를 위한 효율적 작업관리정책
- K-평균법에 의한 남한 강수지역의 구분 및 강수량 변동패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