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치, 경제 그리고 금융 위험이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유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Political, Economic and Financial Risks on the Inflow of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한병섭(Byoung-Sop Han) 박은경(Eun-K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9卷 第2號, 87~12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도국을 대표하는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유입에 정치, 경제 그리고 금융위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가 위험 전문 평가기관인PRS(Political Risk Service)의 ICRG(International Country Risk Guide) 및 중국 대외투자통계연감을 통해 2003년부터 2014년 말까지 이루어진 중국의 대외투자를 조사하였다. 조세회피처에 속하는 국가와 홍콩, 대만, 마카오를 제외한 139 개 투자대상 국가를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높을수록 중국의 대외투자 유입이 증가하는 반면, 금융 위험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가입국과 비가입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정치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높아질수록 중국의 대외투자유입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OECD 가입국은 정치적 위험의 영향력이 경제적 위험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난 반면, 비가입국은 정치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중국의 대외투자 유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금융 위험은 OECD 가입국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가입국은 금융위험이 낮을수록 대외투자 유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이 정치적⋅경제적 위험은 기회로 간주하는 반면, 금융 위험은 위협요인으로 판단하며, 구체적으로 두 그룹 모두 투자 위험도등이 높을 때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비가입국의 경우 외채원리금상환비율과GDP대비 총 외채 잔액 등의 안정성이 낮을 때는 투자가 감소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대외투자가 역량 활용 관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개도국의 국내 투자 유치를 위한 국가 위험 관리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PRS Group and Statistical Bulletin of China’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itical, economic, and financial risk on the inflow of Chinese FDI to host countries. We analyze panel data from 2003 to 2014 for 139 countries, excluding tax havens and the Chinese possessions of Hong Kong, Taiwan, and Macao.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ed political and economic risk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ow of Chinese FDI, while financial risk reduces the inflow of Chinese FDI. However, when we compare results from OECDs and non-OECDs, the effect of political risk is higher than economic risk in OECDs, where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effects in non-OECDs have a similar impact on the inflow of Chinese FDI. In addition, financial risk does not affect FDI in OECDs, however it affects the inflow of FDI in non-OECD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China considers political risk as an opportunity but views financial risk as a threat. In particular, investment profile increase the inflow of FDI while DSR and foreign debt decrease FDI. Last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flow of Chinese FDI can be explained in perspective of capability exploitation. It would helpful for managing risk management strategy in inducing inward FDI from developing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