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3국의 부가가치 수출과 비교우위
이용수 61
- 영문명
- Value Added in Exports and Comparative Advantage in 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박순찬(Soonchan Park) 박찬일(Chanil Park)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9卷 第2號,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의 총수출(gross exports) 대비 국내부가가치 수출(domestic value added in exports)의 변화를 분석하고, 생산성의 차이가 비교우위를 결정하고해당 산업의 제품을 수출한다는 리카도 모형의 예측을 한중일 3국 14개 제조업의 전세계로의 양자간 수출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오늘날 국제경제의 가장 뚜렷한 특징인 생산과정의 국제적 분화 또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심화로 인해 재화는 더 이상 일국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단계로 분리되어 여러 국가에서 진행되며, 중간재 또는 부품은 여러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이로 인해 일국의 총수출은 해당 국가에서 창출된 부가가치(value added)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입된 중간재 또는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서, 총수출(gross exports)은 외국에서 창출된 부가가치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공식 통계로 집계되는 총수출은소위 이중계산(double-counting)의 문제를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계투입산출표(World Input-Output Table)를 이용하여 총수출을 여러 부가가치의 구성요인으로 분해하였다. 특히 4차원의 지수(4 dimensional indices)를 갖고 있는 본연구에 사용된 패널데이터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관찰할 수 없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수출국과 수입국의 특징(characteristics of exporter and importer), 수입국-산업(importer-industry)의 특징과 수출국-산업(exporter-industry)의 특징을 통제하기 위해 3차원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고, 또한 산업 차원에서의 수출국 생산성이 갖는 내생성(endogeneity)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도구변수(instrument variable)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1995-2011년 기간에 한⋅중⋅일 3국의 국내부가가치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리카도 모형에서 제시하는 비교우위의 중요성이 한⋅중⋅일 3국에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portance of Ricardian comparative advantage is valid for domestic value added in exports for 3 East Asian countries.
Using the World Input Output table, we decompose gross exports at the industry level into various value-added components, including 14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period of 1995-2011. Using a panel data model with three dimensional fixed effects (exporter-importer-year, importer-industry-year, and exporter-industry fixed effects), we find that Ricardian comparative advantage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patterns of trade in a world with global value chains. This results are robust to the alternative measures of productivity. In addition, we also find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dvantage when export performance is measured by other value-added components, such as indirect domestic value added and domestic value added that returns home.
목차
Ⅰ. 서론
Ⅱ. 한중일 3국의 부가가치 수출
Ⅲ. 실증분석 모형과 데이터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