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자기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구
이용수 8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e) 서샛별(Seo satby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365~3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자기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 중학생 패널 4차년도(2014년), 5차년도(2015년), 6차년도(2017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인식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감소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의 종단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의 초기치는 학업성취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세 변인의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세 변인의 변화율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해 보면, 학업성취도에 영향력이 큰 변수는 순서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인식, 학교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elf-re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 constructed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using the three years sequential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2015-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self-recognition increased and decreased as they go up in grade, while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ecreased, and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Seco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of self-re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as following. The initial values of the three variabl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rate of change of the three variable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Third,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rate of change of three variables on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variables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in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self-recognition,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국악교육의 의미와 어려움
-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안 탐색
- 가족인권교육을 위한 가족인권침해 인식 및 실태
- 공동체 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통합형 성취기준 재구성 사례 연구
- 아동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 학술적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의 방향 탐색
- 교수자의 형성평가 피드백,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창작시에 대한 교사의 문어 피드백 원리 연구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진로개발 과정 탐색
-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자기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구
- S대학교의 중국 유학생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협동 학습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 간호대학생의 SBAR 기반 심폐소생술 기록지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오하이오 주(州)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시사점 제안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경험 유무, 전공만족도 및 교직열정의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
- 실생활 문제해결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개인별 응답과 모둠 연구 사례 분석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영어 음운 인식 지도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 공학계 여대생의 진로자본 기반 진로자기관리 개념적 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임상 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의 수학 평가 방안 분석
-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 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 초심상담자의 상담 수행능력 자기평가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
-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 분석
- 소방직 공무원의 동료지원인식, 가족기능, 심리적 복지감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
- 간략형 학업 정서반응 척도(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의 개발 및 타당화
- 중ㆍ고등학교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인과관계 연구
- 사물과 사물 명칭의 친숙성이 중국 아동의 귀납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과 언어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간판 디자인 개선 제작활동과 시각 문화 미술교육의 재인식
-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간호사의 진성리더십,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문학동네’ 어린이희곡집에 나타난 인물 고찰
-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관계 분석
- 학습자 중심 교육이 장애 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특수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 Global trend of CLIL and the possible implementation in Korea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hina
- 간호대학생의 공감과 거부민감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삶에 대한 주관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육군 K사관학교 생도의 핵심역량 개발 교육요구 분석
-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심리적 소진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소년원학교에서 주체적 마음 형성을 위한 인문학적 연극 활동
- 대학 전공 영어 블렌디드-플립러닝 혼합수업 인식 및 선호도 변화 연구
-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 교과중점학교 운영 사례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