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8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aking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경화(Ha, Kyeong Hwa) 최효정(Choi, Hyo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0호, 313~3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5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을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실시 전후로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 습득의 전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장애유아에 대한 기대 수준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인지수준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king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on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llege. For this purpose, 45 students of one college, located in K province, measured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lasses. Paired t-test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aking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area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quisition of i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taking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expec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not on teachers cognitive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국악교육의 의미와 어려움
-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안 탐색
- 가족인권교육을 위한 가족인권침해 인식 및 실태
- 공동체 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통합형 성취기준 재구성 사례 연구
- 아동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 학술적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의 방향 탐색
- 교수자의 형성평가 피드백,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창작시에 대한 교사의 문어 피드백 원리 연구
-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진로개발 과정 탐색
-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거부민감성과 연애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자기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구
- S대학교의 중국 유학생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
- 간호대학생의 협동 학습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 간호대학생의 SBAR 기반 심폐소생술 기록지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오하이오 주(州)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시사점 제안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경험 유무, 전공만족도 및 교직열정의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
- 실생활 문제해결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개인별 응답과 모둠 연구 사례 분석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영어 음운 인식 지도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 공학계 여대생의 진로자본 기반 진로자기관리 개념적 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임상 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의 수학 평가 방안 분석
-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 복잡계에 근거한 공동선 증진 유아교육재정 정책 방향 탐색
- 초심상담자의 상담 수행능력 자기평가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
- 한국어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 분석
- 소방직 공무원의 동료지원인식, 가족기능, 심리적 복지감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
- 간략형 학업 정서반응 척도(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의 개발 및 타당화
- 중ㆍ고등학교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 간 종단적 인과관계 연구
- 사물과 사물 명칭의 친숙성이 중국 아동의 귀납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 유아의 얼굴표정 정서인식 정확성과 언어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간판 디자인 개선 제작활동과 시각 문화 미술교육의 재인식
-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간호사의 진성리더십,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문학동네’ 어린이희곡집에 나타난 인물 고찰
-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관계 분석
- 학습자 중심 교육이 장애 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특수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 Global trend of CLIL and the possible implementation in Korea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hina
- 간호대학생의 공감과 거부민감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삶에 대한 주관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육군 K사관학교 생도의 핵심역량 개발 교육요구 분석
- 보육교사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심리적 소진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소년원학교에서 주체적 마음 형성을 위한 인문학적 연극 활동
- 대학 전공 영어 블렌디드-플립러닝 혼합수업 인식 및 선호도 변화 연구
-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 교과중점학교 운영 사례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