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이용수 469
- 영문명
- A Study of Using Flipped Learning on Differentiated-level College Learners’ Perceptions, Class Satisfaction, and Reading and English-speaking Achievement PDF ic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화(Lee Yu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영어교육은 4차산업 혁명시대의 도래와 최근 첨단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통적인 교수학습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혹은 협동학습 중심의 교수법인 플립트 러닝에 대한 관심이 교육계에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수준별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본 교수법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영어독해 및 영어 말하기 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 만족도와 플립트 수업 적용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 대학의 Level 1, 2, 3의 수준이 상이한 교양영어 수업에 플립트 러닝 수업을 실시하였다. 매주 교수자가 닥줌(DocZoom) 프로그램 또는 직접 영상을 촬영 제작하여 수업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였고, 독해능력성취도 평가와 말하기 능력평가를 실시하였고, 학습자들은 사후 설문조사 및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SPSS Version 25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AE 1(초급)과 AE 2(중급)반 플립트 러닝을 실시한 경우에 성취도 평가점수 및 말하기 평가점수가 모두 높아 성적 향상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AE 3(고급)반은 플립트 러닝 실시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는 AE 1(초급)반의 플립트 러닝 영상시청률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수업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립트 러닝의 장점으로 자기주도학습과 반복적인 온라인시청으로 ‘교실-밖의 예·복습의 편리성’과 오프라인에서의 ‘교실-내의 상호작용과 협력’으로 크게 두 개의 핵심주제로 분석이 되었다. 본 연구로 얻게 된 플립트 러닝의 교수·학습의 실제와 활용성 결과는 대학 교양영어 현장에 실제적인 교육적 의의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flipped learning model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three level-differentiated EFL English classes in a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experience in the flipped classroom. Total seventy-two students (AE1=low 23, AE2=intermediate 22, AE3=high 27)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English classes through one year.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was focused on a flipped way and the half of the course covered the non-flipped class for reading comprehension and also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was focused on a non-flipped way and the half of the course covered the flipped class for speak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speaking comprehension test were taken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knowledge. Also,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in an English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st scores by the flipped learning English classes in both AE1 and AE2 were higher than the latter of the non-flipped class in both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comprehension test. It appea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EFL students’ English competence for lower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but i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E3 high level students. It was repor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helpful and satisfactory due to not only the repetitive preview and review through the online lessons but also interactive and cooperative activities with classmates in offline classes. Despite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enjoyment through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participating in the flipped learning-led class, problems and difficulties were also reported. The study provides one example of a proper flipped learning model and better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the classroo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유아교사의 강점이 직무만족도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 초등학생의 최대공약수에 대한 이해 분석
- 개념도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대학생들의 침습적/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 건강장애 학생이 체험하는 화상교육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다중표현기능 분석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어교육을 위한 음성학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외톨이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리듬 노래와 선율 노래를 활용한 ‘오디’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체육수업 경험 인식과 스포츠 직접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자료를 활용한 쓰기 단원 구성 연구
-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 유아교사가 지각한 멘토 경험의 의미 탐구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행동 및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공교육의 교육평등 실천에 관한 연구
-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공공미술교육을 위한 서울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예술적 특징과 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 간호학생을 위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간호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실습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 국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