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이용수 391
- 영문명
- The Effect of Moderating father Attachment Between with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찬미(Song Chan Mi) 지은(Ji 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669~6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의 입시와 학업에 대한 압박감으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므로 중학생 스스로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아버지의 애착형성의 중요함을 알아보고자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15일까지 A시와 B도 내 중학생 404명을 편의표집하여 SPSS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촉진하고, 학교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과 학업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높이는데 부애착이 높을수록 촉진 또는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작용하고, 부애착이 안정적임에 따라서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선택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발달과 학교적응 과정에서 안정적인 부애착이 지니는 가치를 재확인하였으며 부모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periences various stress due to pressure from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school stud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know the importance of father attachment to allow middle school students to coping on stress. so, From December 1, 2018 to January 15, 2019, 404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A and B area were put together and used the statistics program of the SPSS. The higher the general sense of self-esteem, the more active the actions to cope with stress, the higher the self-esteem of schools, the less the actions to cope with stress on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self-esteem in schools, the higher the passive stress coping behavior in home and school-related stress situations, the higher the father attachment, the better the fosterage or suppression. As such,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cts as an important pre-factor affecting stress coping behavior, and since the is stab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positive stress response method is selected. These findings reaffirmed the value of stable attachment in the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ut forward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t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유아교사의 강점이 직무만족도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 초등학생의 최대공약수에 대한 이해 분석
- 개념도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대학생들의 침습적/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 건강장애 학생이 체험하는 화상교육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다중표현기능 분석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어교육을 위한 음성학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외톨이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리듬 노래와 선율 노래를 활용한 ‘오디’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체육수업 경험 인식과 스포츠 직접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자료를 활용한 쓰기 단원 구성 연구
-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 유아교사가 지각한 멘토 경험의 의미 탐구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행동 및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공교육의 교육평등 실천에 관한 연구
-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공공미술교육을 위한 서울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예술적 특징과 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 간호학생을 위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간호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실습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 국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