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1,513
- 영문명
- Identifying competencies and analyzing educational need for future education facilita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국(Lee Dongkuk) 김황(Kim Hwang) 이은상(Lee Euns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1125~1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을 도출하고 교육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검토, 전문가 패널에 의한 추정, 두 차례의 전문가 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은 4개 역량군으로 유목화하여 총 11개의 역량과 2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도출된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은 1) 미래 사회 변화 대응 역량, 2) 학교의 비전 공유 및 성과 분석 역량, 3) 협력적 공동체 문화 형성 및 운영 역량, 4) 교원의 전문성 개발 역량, 5) 학교 교육과정 구성 역량, 6) 교수학습 설계 및 실행 역량, 7) 평가 역량, 8) 학교 공간 활용 역량, 9) 학교 공간 개선 역량, 10)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11) 데이터 활용 역량이다.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학교의 비전 수립과 공유, 민주적 학교 문화 조성, 미래교육 이슈에 대응한 교육과정 구성, 교원 전문성 개발, 실제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 제공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교육 정책과 교원 연수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uture education facilitators’ competencies and analyze educational needs for identified competencies. To identify future education facilitators’ competencies, this study followed a process of relevant literature review, estimation by a panel of expert, and two-step review by expert validity. The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educational needs for identified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five categorized clusters of competencies of future education facilitators and finalized 11 competencies and 26 behavioral indicators. Identified competencies were followings: 1) Response competency for future social change, 2) school vision sharing and performance analysis competency, 3) collaborative community culture formation and operation competency, 4)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5) school curriculum composition competency, 6)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competency, 7) assessment competency, 8) school space utilization competency, 9) school space improvement competency, 10) 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and 11) data utilization competency. The results from educational needs analysis indicated that setting and sharing school vision, creating a democratic school culture, constructing a curriculum in response to future education issues,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roviding feedback to support effective growth should be the priority to be considered. This stud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and teachers’ training to support and promote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유아교사의 강점이 직무만족도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 초등학생의 최대공약수에 대한 이해 분석
- 개념도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대학생들의 침습적/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 건강장애 학생이 체험하는 화상교육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다중표현기능 분석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어교육을 위한 음성학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외톨이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리듬 노래와 선율 노래를 활용한 ‘오디’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체육수업 경험 인식과 스포츠 직접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자료를 활용한 쓰기 단원 구성 연구
-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 유아교사가 지각한 멘토 경험의 의미 탐구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행동 및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공교육의 교육평등 실천에 관한 연구
-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공공미술교육을 위한 서울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예술적 특징과 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 간호학생을 위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간호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실습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 국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