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이용수 629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coeducational school in middle schools: Focused on the awareness of gender role and happiness in school lif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미영(Han Mi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355~3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성역할 의식 및 학교생활 행복감에 대한 학교유형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남녀공학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남녀공학의 교육적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남녀공학의 남학생과 여학생을 분리하여 ‘남학교와 남녀공학 남학생’, ‘여학교와 남녀공학 여학생’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의 전체 중학교 모집단(265교) 가운데 학교유형에 따른 짝집기 표집을 통해 총 114교를 표집학교로 선정하였다. 표집학교의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남학교, 여학교 각 27교, 남녀공학 24교(남녀합반 16교, 남녀분반 8교) 포함 총 78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유형에 상관없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성역할 의식이 좀 더 진보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역할 의식에 대한 학교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녀공학 여학생이 여학교 여학생보다 성차 및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유형에 상관없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생활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생활 행복감에 대한 학교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녀공학 남학생이 남학교 남학생보다 학교생활 행복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남녀공학 교육 및 남녀분리 수업에 대한 교육적 제고 및 내실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ed schools comparing to the difference of awareness of gender role and happiness in school life in coed or single-sex of middle schools. Especially, to be more specific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ed-school, we compared to the differences of ‘male students in all-boys and coed school’ and ‘female students in all-girls and coed school’ which separated to male and female in coed school. To this end, a total of 114 schools were selected from the entire middle school population (265 school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by using paired-sampling method of school types. We conducted a survey on middle school seniors in sampling schools, and finally used data from 78 schools, including 27 schools for boys and girls, and 24 schools for coed schools(16 coed class, 8 single-sex class). As results, regardless of school type female students had more liberal gender role senses than male students but after controlling for extraneous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awareness of gender role, the awareness of gender role of female in coed school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all-girls school. Alike, regardless of school type the happiness in school life of th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but after controlling for extraneous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happiness in school life, happiness in school life of male in coed school were lower than that of male in all-boys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on the educational improvements of coed school and single-sex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유아교사의 강점이 직무만족도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 초등학생의 최대공약수에 대한 이해 분석
- 개념도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대학생들의 침습적/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 건강장애 학생이 체험하는 화상교육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다중표현기능 분석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어교육을 위한 음성학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외톨이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리듬 노래와 선율 노래를 활용한 ‘오디’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체육수업 경험 인식과 스포츠 직접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자료를 활용한 쓰기 단원 구성 연구
-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 유아교사가 지각한 멘토 경험의 의미 탐구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행동 및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공교육의 교육평등 실천에 관한 연구
-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공공미술교육을 위한 서울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예술적 특징과 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 간호학생을 위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간호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실습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 국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