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이용수 496
- 영문명
- Effect of the Brain Korea21 PLUS project on Student Engagement & Learning Outcomes : A comparative stud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정(Her Jung) 이길재(Lee Gilj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877~9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고등교육 정책의 핵심 관심 주제 중 하나인 BK21 플러스사업이 대학원생의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인적자원개발 정책 사업인 BK21사업이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사 실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은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의 효과 분석은 물론 추후 계속될 사업 설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BK21 플러스사업 미래기반 분야에 선정되어 2019년까지 계속 지원받은 341개 학과 중 경향점수매칭(PSM)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86개 학과를 대상으로 성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BK21 플러스사업 참여는 대학의 지원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참여 대학원생들의 능동적·협력적 학습과 학습량은 사업 미참여 대학원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참여의 주요 하위 요소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사업 참여 대학원생과 미참여 대학원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주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BK21사업의 기획과 추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Brain Korea21 PLUS(BK21) project 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comparison with graduate students in between BK21 PLUS departments of universities and non-BK21 PLUS departments. In order to select the comparison group, the study employed the PSM(propensity scoring matching) method that is well known to be useful in reducing the sample selection bias. Samples include 43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the project for 7 years(2013~2019) Students from the BK21 departments show a higher level of university supportive environment which means giving variety programs such as scholarship and research supports from BK21 PLUS is on effect. In case of student engagement,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quantity of learning show a higher level compared to students from non-BK21 departmen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indicator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Learning outcomes also show higher level to students from BK21 PLUS departments both learning competency and research performance. The result reveal that BK21 PLUS project is making progress not only a students’s research performance but also the learning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consistently create and expand positive outcomes through the BK21 proj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 부애착 조절효과
-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유아교사의 강점이 직무만족도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아탄력성, 임상실습스트레스 대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기수용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BK21플러스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분석
- 초등학생의 최대공약수에 대한 이해 분석
- 개념도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목표불일치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 하크니스 토의 활용 사례 연구
-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남녀공학 중학교의 교육적 효과 분석
- 대학생들의 침습적/의도적 반추가 생명존중의식을 매개로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 건강장애 학생이 체험하는 화상교육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의 다중표현기능 분석
-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 ‘초등학생의 역사하기’의 특징과 시사점
-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어교육을 위한 음성학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미래교육 촉진자의 역량 도출 및 교육요구도 분석
- 대학생의 외톨이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리듬 노래와 선율 노래를 활용한 ‘오디’ 음악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수준별 학습자들의 인식, 만족도, 영어독해 및 영어말하기 성취도 연구
- 초보상담자가 상담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이 인지하는 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체육수업 경험 인식과 스포츠 직접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자료를 활용한 쓰기 단원 구성 연구
-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 유아교사가 지각한 멘토 경험의 의미 탐구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행동 및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 통합 시뮬레이션 간호실습모듈 개발 및 적용
-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 시·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분석
- 공교육의 교육평등 실천에 관한 연구
- 국내 초등학생 정서조절 연구의 동향과 제언
- 공공미술교육을 위한 서울 지하철역 벽화작품의 예술적 특징과 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 간호학생을 위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간호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실습역량 향상을 위한 개념지도 교수법의 효과
- 국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