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조건에 따른 브랜드 명이 브랜드 회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Effects of the Korean-Enligh Language Conditon on Brand Recall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 저자명
- 권자연 박지혜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연구』제21권 제2호, 8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osite brand names of English and Korean on brand recall. Brand names identify and present acombination of a producer and product category such as Park Jun’s hair salon and Andre Kim’s Golf. Brand names employed a single language (Korean or English) or dual languages (Korean-English, English-Korean) can influence memory on brand names for Korean native speakers. One hundred six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anipulated condition. A 2 X 2 between subjects’ factorial designwas employed: Producer identifier language (Korean vs. English) by product category identifier language (Korean vs. English). Results showed that brand names with a Korean-Korean combination were recalled more than other language conditions. For Korean native speakers, a language mix with English diminishes brand recall.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