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이용수 186
- 영문명
- Distribu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Different Sizes of Particles in the Ambient Air of the Pyeongteak A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동기(Dong-Gi Kim) 우정식(Jung-Sik Woo) 김용준(Yong-Jun Kim) 정해은(Hye-Eun Jung) 박주은(Ju-Eun Park) 조덕희(Duck-Hee Cho) 문희천(Hee-Chun Moon) 오조교(Jo-Gyo Oh)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2호, 192~20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PCDD/Fs),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lys (dl-PCB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fin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on POP behavior and composition analysis.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PCDD/Fs, dl-PCBs, and PAHs by particle size were evaluated for TSP, PM10, and PM2.5. Also, fine dust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source of PCDD/Fs.
Result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found to account for 24.3% of >10 μm, 14.5% of 2.5-10 μm, and 61.2% of <2.5 μm. The average contributions of coarse particles (>2.5 μm) and fine particles (<2.5 μm) were PCDD/Fs 67%, dl-PCBs 66%, benzo (a) pyrene 83% and PAHs 84%, and the contributions of fine particles (<2.5 μm) were higher than coarse particles (>2.5 μm). However, the contributions of coarse particles increased in April to September with higher temperatures, while those of fine particles increased in February to March with lower temperatures.
Conclusions: Low chlorinated (4Cl-5Cl) PCDD/Fs were more adsorbed compared to coarse particles due to the influence of pollutant migration from particulate to gas phase according to temperature rise, whereas high chlorinated (6Cl-8Cl) PCDD/Fs were more adsorbed compared to fine particles. PCDD/Fs sources were assessed to be major sources of emissions, such as incineration facilities and/or open burning.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업장 대응방안 소개
- 시판용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한 하수 악취 내 황화수소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 우리나라 성인 중 비흡연자에 대한 코티닌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2008년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급증: 우연인가, 필연인가?
-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 가습기 살균제 건강영향 모니터링에서 환경노출조사의 역할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 대중교통수단 객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거동 특성
- Introduction of Guid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