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이용수 232
- 영문명
-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Chungnam Korea, 2019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이현아(Hyunah Lee) 남해성(Hae-Sung Nam) 최지혜(Jihye Choi) 박성민(Seongmin Park) 박종진(Jongjin Park) 김현민(Hyeonmin Kim) 천영희(Younghee Cheon) 박준혁(Junhyuk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2호, 184~19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ase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repor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2019 and report it as effective data for preventing food poisoning in the future.
Methods: Food poisoning outbreaks were analyzed to detect virus, bacteria, and protozoa according to the Manual fo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Outbreaks to clarify the causes of food poisoning that occurr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2019.
Results: Among the 79 case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59 cases (74.7%) were in general restaurants, 15 cases (19.0%)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three cases at banquets, and two cases in take-out food. The 42 cases at general seafood restaurants made up the majority of food poisoning in Chungcheongnam-do. Food poisoning pathogens were shown in 13 cases (86.7%) out of the 15 cases at food service institutions, and 10 cases were related to Norovirus. Among the 79 cases, food-borne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35 cases of outbreaks, accounting for 44.3%. The confirmed pathogens were as follows: bacteria (24 cases), Norovirus (12 cases) and Kudoa septempunctata. (five cases). The food-borne bacteria were pathogenic E. coli (12 cases), Staphylococcus aureus (six cases), Salmonella spp. (two case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one case).
Conclusions: To prevent food poison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and to hold a campaign for th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based on that analysis. In addition, when food poisoning occurs, the results of analyzing its cause and spread based on accurate epidemiological survey need to be shared.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업장 대응방안 소개
- 시판용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한 하수 악취 내 황화수소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 우리나라 성인 중 비흡연자에 대한 코티닌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2008년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급증: 우연인가, 필연인가?
-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 가습기 살균제 건강영향 모니터링에서 환경노출조사의 역할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 대중교통수단 객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거동 특성
- Introduction of Guid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