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이용수 14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ystem for the Safe Handling of Chemicals and Health Protection Using Reporting Data under the Chemical Control Act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전다영(DaYoung Jeon) 황만식(ManSik Hwang) 임지영(JiYoung Im) 류지성(JiSung Ryu) 김영호(YoungHo Kim) 이지호(JiH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2호, 232~244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nagement system for the safe handling of chemicals and related health management based on reporting under the Chemical Control Act (CCA). It is used to search handling information by constructing data linked to the name of companies, chemicals, products, etc.
Methods: Due to the differences in submission periods for each reporting regulation of the Chemical Control Act, the data used is as follows: A statistical survey collected 26,222 companies in 2014 and 2016, Pollutant Release Transfer Registers (PRTR) collected 4,234 companies in 2015-2017, performance reports by handler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collected 14,658 companies in 2016-2018, and declarations for import of toxic chemicals collected 892 companies in 2016-2017. The total information on 36,080 companies is standardized based on company ID, nam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address, and more.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such as company, chemical, and product name and amounts handled and released, and then extra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establish relationships among classified information.
Results: A search service was developed for handling information on chemical substances for reporting data by linking four reporting data: statistical survey, PRTR, performance report by handler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declaration for import of toxic chemicals under the CCA. It was composed of five menus to search by regulation type, reporting regulation, companies and chemicals, and system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se data linked by company, region, and chemical to respond and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In addition, these items can be utilized to perform handling and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s according to whether regulations under the CCA may be implement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업장 대응방안 소개
- 시판용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한 하수 악취 내 황화수소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 우리나라 성인 중 비흡연자에 대한 코티닌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2008년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급증: 우연인가, 필연인가?
-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 가습기 살균제 건강영향 모니터링에서 환경노출조사의 역할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 대중교통수단 객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거동 특성
- Introduction of Guid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