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이용수 2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mission Changes in Reduction Chemical Substanc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임지영(JiYoung Im) 이명지(MyeongJi Lee) 김현지(HyunJi Kim) 류지성(JiSung Ryu) 윤대식(DaeSik Yun) 장용철(YongChul Jang) 이청수(ChungS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2호, 159~16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among the nine kinds of reduction chemical substances in Korea over the period of 2008-2017. We will defin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methods for reducing chemical substances.
Methods: A survey of hazardous pollutant emissions for 2008-2017 was conducted through the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homepage. Nine kinds of designated reduction chemical substances (Benzene, Vinyl chloride, Trichloro ethylene, 1,3-butadiene, Dichloro methane, Tetrachloro ethylene, N,N-dimethylformamide, Acrylo nitrile, and Chloroform) provided the study subjects. The emission of hazardous chemicals and health effects used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s and Integrated Chemicals Information System (ICIS) as a reference.
Results: Hazardous pollutant emissions increased by 1.2 times over the past decade, and nine types of reduction chemical substances increased by 1.6 times. By region, the emissions of reduction chemical substances over the last 10 years were in the order of Chungbuk, Gyeonggi, and Gyeongbuk. Emissions of Dichloro methane was the highest in Chungbuk and Gyeongbuk. N,N-dimethylformamide was the highest in Gyeonggi. Carcinogen pollutant emission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tinuously. In addition, group 1 carcinogen emission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Conclusion: In the last decade, the amount of hazardous chemical emission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Hazardous chemical emissions require facility improvement for continuous emissions reduction. More research on reduction of emissions is need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업장 대응방안 소개
- 시판용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한 하수 악취 내 황화수소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 우리나라 성인 중 비흡연자에 대한 코티닌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2008년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급증: 우연인가, 필연인가?
-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 가습기 살균제 건강영향 모니터링에서 환경노출조사의 역할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 대중교통수단 객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거동 특성
- Introduction of Guid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