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이용수 129
- 영문명
-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es of Human Aggregate Risk Assessment of Benzene using the CalTOX Model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옥(Ok Kim) 이민우(Minwoo Lee) 송영호(Youngho Song) 최진하(Jinha Choi) 박상현(Sanghyun Park) 박창용(Changyoung Park) 이진헌(Jinhe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2호, 136~149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aggregate human risk assessment for benzene in an industrial complex using the CalTOX model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the model by analyzing the uncertainty and sensitivity of the predicted assessment results.
Methods: The CalTOXTM 4.0 beta model was used to evaluate a selected region, and @Risk 7.6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uncertainty and sensitivity.
Result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aggregate risk assessment on the assumption that 6.45E+04 g/d of benzene would be emitted into the atmosphere over two decades, 3% of the daily source term to air remained in the selected region, and 97% (6.26E+04 g/d) moved out of the region. As for exposure by breathing, the predicted LADDinhalation was 2.14E-04 mg/kg-d, and that was assessed as making a 99.99% contribution to the LADDtotal. Regarding human Riskcancer assessment, the predicted human cancer risk was 5.19E-06 (95% CI; 4.07E-06-6.81E-06) (in the 95th percentil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xposure level, a confidence interval of 90%). As a result of analyzing sensitivity, ‘source term to air’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llowed by ‘exposure time, active indoors (h/day)’, and ‘exposure duration (years)’.
Conclusions: As for the results of the human cancer risk assessment for the selected region, the predicted human cancer risk was 5.19E-06 (95% CI; 4.07E-06-6.81E-06) (in the 95th percentil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exposure level, a confidence interval of 90%). As a result of analyzing sensitivity, ‘source term to air’ was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한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사업장 대응방안 소개
- 시판용 미생물탈취제를 이용한 하수 악취 내 황화수소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alTOX 모델을 이용한 벤젠 종합위해성평가의 불확실성 분석과 민감도 분석
-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 우리나라 성인 중 비흡연자에 대한 코티닌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2008년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급증: 우연인가, 필연인가?
-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 가습기 살균제 건강영향 모니터링에서 환경노출조사의 역할
-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대상물질 중심으로
- 대중교통수단 객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거동 특성
- Introduction of Guid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