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성평등기금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the Gender Equality Fund: Focused on the Suwon City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이영안(Young 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0권 제1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원시 양성평등기금 사업의 지속을 통해 실질적인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수원시는 실질적 양성평등제도와 문화의 확산이라는 사업의 핵심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부재하였고, 평가영역과 세부지표 간의 내용타당성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수원시 양성평등기금 사업의 평균 사업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예산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양성평등기금사업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결과평가를 위한 평가모형과 지표 선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 평가모형의 지표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수원시가 성불평등구조에 따른 차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설계하고, 향후 양성평등 촉진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necessary for designing the policy for the realization of practical gender equalit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Suwon City Gender Equality Fund Project. Until now at Suwon City, the index to assess the key performances - practical gender equality system and spread of culture - has been absent and some have pointed out the problem with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domains and the specific indices. Moreover, while the average fund of the Suwon City Gender Equality Project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budget is decreasing. Therefore, the need for the evaluation model for objective and fair result evaluation of the project and the selection of index have come to the fore an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index of the evaluation model. Such an attempt can be helpful for Suwon City to design the strategy for resolving the discrimination issue based on th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and arrange the basis of the policy and the system for promoting gender equality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제도적 배경
Ⅲ. 수원시 양성평등기금 사업평가 현황 및 문제점
Ⅳ. 수원시 양성평등기금사업 평가모형 개발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