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01
- 영문명
-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최금진(Keumjin Choi) 박선희(Sunhee Par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12집 1호, 59~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의 이해 및 다문화 교육의 태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관련 문헌을 고찰 한 후, 설문도구를 추출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범대학 재학생 148명이다. 연구 도구는 다문화 감수성 문항 24개, 다문화 교육의 이해 문항 6개, 다문화 교육의 태도 문항 14개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경험이 있는 학생이 다문화 감수성 측면에서 해외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즐겼다. 둘째, 해외 어학연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다문화 교육의 이해 측면에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 교류하는데 필요한 자신감, 사교적인 태도, 정보 얻기 등에 적극적이었다. 다문화 교육의 태도 측면에서 교사의 역할 재정립, 우리 사회의 문화 다양성 인식 등이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학생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은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 본인들이 다문화인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표현하는 것, 대화 소재를 잘 찾는 것 등에서 자신감을 갖고 있다.
결론으로는 첫째, 예비교사의 단순한 다른 나라 여행은 다문화 감수성, 이해와 태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먹거리, 볼거리에 관심이 있는 해외여행으로 해석된다. 둘째, 해외 어학연수 경험이 다문화 감수성, 태도 등에 영향을 준다. 이는 사회문화적 자극을 받아 인지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가 다문화 학생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으면 다문화 감수성이 높아져 다문화 학생의 삶을 공감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nsitivity of multiculture,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s. The literature review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ducted. 148 participants are in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eacher education or teaching education in ChungChung province, Korea. The test items are ‘sensitivity of multiculture’ 24 item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6 items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14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who visit abroad are only enjoy the diverse foods and sightseeing. Second, pre-service teachers who join language study abroad are more confidence of carrying out cultural exchange, outgoing, and gaining context aspect. Finally, pre-service teachers who teach multiculture students are more confidence of carrying out cultural exchange,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e students.
In conclusion, Firstly, pre-service teachers who visit abroad are only enjoy food and sightseeing. Secondly, pre-service teachers who join language study abroad are good a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attitud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pre-service teachers who teach multiculture students are empathize with theirs lif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