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초‧중학교 사회 교과서 기술 비교 ‧ 분석
이용수 228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of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n and Japa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 발행기관
- 글로벌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선영(Lee, Sun-Young) 류학렬(Lyu, Hag-Lyeol) 小栗 優貴(Oguri Yuki) 両 角 遼平(Morozumi Ryohei) 宅島 大尭 (Takushima Hirotaka)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12집 1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식민지배의 기억과 청산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입장 차는 양국의 긴장 관계를 초래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은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하고, 한국은 식민지배에 대한 개인 청구권이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양국의 견해차는 국가 간 갈등을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는 사회 교과서에 각 국가의 담론이 들어있다고 가정하고, 한일기본조약에 관한 한일 양국의 초‧중학교 교과서 서술을 분석·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한일기본조약의 내용이나 조약이 맺어질 당시 세계사와 관련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자세하게 다루지 않았다. 둘째, 교과서는 한일기본조약의 내용과 평가, 일본군‘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 앞으로의 갈등 해결에 대해 양국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셋째, 과거사 청산과 관련된 한일 갈등에 대한 해결을 위해 한국 교과서는 민족을 넘어선 인권 문제로 확장하여 다루지만, 일본은 국제법상의 약속인 조약으로 법적 해결이 되었다고 기술한다. 넷째, 한일기본조약과 관련하여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을 바라보는 관점에 차이를 보였다.
하나의 사건은 그 나라의 사회적 맥락 따라 공적 담론으로 만들어진다. 하나의 공적 담론은 다른 담론과 만나 논쟁의 장을 만들어 간다. 한일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사회과 교과서 담론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쟁점에 따라 서로 다른 생각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논쟁 상황을 비판적 사고로 바라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는 사회과 교육이 가진 의미를 나누며 소통하는 중요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outh Korea and Japan s stance on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history and Japan was a bi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Japan claims that compensation was made through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but, South Korea claims that it has individual rights to ask Japan for compensation.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come a conflict. The study defined social textbooks as containing discourse from each country and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y describe the same historical event.
The following is the analysis result. First,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do not record the details of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nd the world history at that time. Second, textbooks describe their content from the standpoint of each country. Third, Korea approaches th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s a human rights issue. However, it is stated that Japan was resolved under international law. Fourth, Korea and Japan differ in their view of the San Francisco Enforcement Treaty.
An event is created through public discourse according to the political,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country. One public discourse is in conflict with another. Likewise, in the process of jointly analyzing and interpreting social studies textbook discourse, researchers from Korea and Japan showed different thoughts according to issue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explore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global citize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대상
Ⅲ. 한일 사회 교과서 분석 결과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