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성희롱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이용수 257
- 영문명
- Qualitative Research on Sexual Harassment Experiences of Beauty Service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명광주(Kwang-Joo M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1호, 85~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sexual harassment perceived by beauty service work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beauty service workers with 20 years of experience and a snowball sampling method was used. The data collection adopted and unstructured interview method to in-depth interview the subjects’s job characteristics and sexual harassment experienced by the study subjects and the beauty service process. In the data analysis, an induc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expert group meeting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Also, the truthfulness strategy of this study was the review between participations and the triangulation verific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er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Sexual harassment perceived and experienced by beauty service workers are: First, gender harassment; second, sexual harassment as job recognition; third, physical contact (sexual molestation); fourth, unwanted sexual interest and coercion; fifth, sexual harassment of employe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두개천골요법이 중년여성의 신체 및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기적 디자인을 응용한 3D프린팅 디지털 네일 작품 연구
- 셀프 헤어 방법과 추구혜택이 셀프 헤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화장품 광고수용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헤어살롱 소비자의 신뢰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레트로 트렌드에 나타난 시니어 패션 스타일 연구
- 뷰티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
- 두피관리 및 사용제품에 따른 탈모예방과 발모 효과성 연구
- 전문대 미용전공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연구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성희롱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저온숙성 선인장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연령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의 구매행동
- 세미퍼머넌트 메이크업에 있어 미용추구혜택이 향후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수기요법이 만성 통증 여성의 통증, 수면,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용 산업현장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연구: 헤어분야를 중심으로
- 네일 디자인을 위한 공간네일 기법연구
- 오미자 잎 분획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 색소침착 억제 효과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피부미용분야 직업기초능력 교육 요구도 분석
- SNS특성이 뷰티소비자의 몰입,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알로에 베라, 맥주 효모 및 실크 펩타이드의 미용관련 생리활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