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Space Nail Techniques for Nai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윤미(Yun-Mi Kim) 김연아(Yeon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1호, 241~24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2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nail art has evolved into a means of social expression pursuing the beauty of the general public, maintaining artistic values. Today, nail art, a field of art maximizing beauty, is highlighted as one of the highest-value-added industries. As the number of women in the workforce rises, people’s interest in various nail design has increased. In fact, nail art has gradually evolved into an element used to improve the degree of perfection in styling. The scope of nail art has been expanded to the means of value expression, which represents the degree of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and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Albrecht Durer (1471-1524) attempted to express his new awareness on pride and self-consciousness through hands in self-portraits, hands themselves can represent who we are as a person. Under the cultural phenomena of hallyu (popularity of Korean pop culture), there have been more opportunities to introduce Korean culture to the world.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cessity to have traditional Korean nail art in the K-beauty industry as well. To reduce the closeness of the ‘full coat’ and maintain the retention of gel nail, this study proposed space nail art.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theoretical grounds through related books, literature records and various web sites to analyze space nail, which as yet has not been greatly studied. This study is also aimed to propose differentiated nail art in customers’ aesthetic needs and the unlimited possibility in the development of nail art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도구 및 방법
Ⅳ. 작품제작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알로에 베라, 맥주 효모 및 실크 펩타이드의 미용관련 생리활성 평가
- 헤어살롱 소비자의 신뢰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성희롱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 오미자 잎 분획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 색소침착 억제 효과
- 전문대 미용전공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연구
- 세미퍼머넌트 메이크업에 있어 미용추구혜택이 향후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수기요법이 만성 통증 여성의 통증, 수면,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용 산업현장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연구: 헤어분야를 중심으로
- 네일 디자인을 위한 공간네일 기법연구
- 레트로 트렌드에 나타난 시니어 패션 스타일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피부미용분야 직업기초능력 교육 요구도 분석
- SNS특성이 뷰티소비자의 몰입,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기적 디자인을 응용한 3D프린팅 디지털 네일 작품 연구
- 뷰티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
- 두피관리 및 사용제품에 따른 탈모예방과 발모 효과성 연구
- 셀프 헤어 방법과 추구혜택이 셀프 헤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저온숙성 선인장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연령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의 구매행동
- 두개천골요법이 중년여성의 신체 및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화장품 광고수용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