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Cosmetologist Training Programs and Trainee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은지(Eun-Ji Lee) 김정원(Jung-W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1호, 127~13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2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continues to grow, the boundary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is blurring.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smetology industry, people have rapidly acquired technical knowledge through diverse media. Under these circumstances, cosmetologists are required to build the skills to catch and follow the latest trends earlier than the general public. Henc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osmetologist training is essential, and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for high-quality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ologist training programs. For this, a survey on current training programs and trainees’ satisfaction was performed among 300 beauty salon workers. For this, beauty salons were divided into sole proprietorships and franchises. In general, the matter was more systematic and more organized than the former in terms of training programs. When asked about problems in the training programs, ‘poor quality’ was most responded (38.6%: sole proprietorship, 34.2%: franchise chain). In training at work as well, ‘curriculum’ was the highest (48.7%: sole proprietorship, 43.0%: franchise chain).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a high-quality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for all beauty salon workers regardless of workplace clas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알로에 베라, 맥주 효모 및 실크 펩타이드의 미용관련 생리활성 평가
- 헤어살롱 소비자의 신뢰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성희롱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 오미자 잎 분획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 색소침착 억제 효과
- 전문대 미용전공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연구
- 세미퍼머넌트 메이크업에 있어 미용추구혜택이 향후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수기요법이 만성 통증 여성의 통증, 수면,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용 산업현장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연구: 헤어분야를 중심으로
- 네일 디자인을 위한 공간네일 기법연구
- 레트로 트렌드에 나타난 시니어 패션 스타일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피부미용분야 직업기초능력 교육 요구도 분석
- SNS특성이 뷰티소비자의 몰입, 자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기적 디자인을 응용한 3D프린팅 디지털 네일 작품 연구
- 뷰티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
- 두피관리 및 사용제품에 따른 탈모예방과 발모 효과성 연구
- 셀프 헤어 방법과 추구혜택이 셀프 헤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저온숙성 선인장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연령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의 구매행동
- 두개천골요법이 중년여성의 신체 및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화장품 광고수용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