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8
- 영문명
- Spatial Patterns of Retail Stores in Seoul, Korea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신우진(Shin,Woo-Jin) 신우화(Shin,Woo-Hwa)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19권 제2호, 279~2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49개 소매업종을 대상으로 서울시 전체에 걸쳐 군집성향을 나타내는 업종들을 찾고, 군집성향을 가진 각 소매업종의 서울시 내 분포도를 검토한 뒤, 서울시 공간 성격과 소매업종 군집패턴 간에 관련성을 규명해보고자 했다. 사용된 데이터는 서울시 전체 소매업점 198,403개로, 529개 동(洞)들을 기준으로 General Getis-Ord G와 Local Getis-Ord Gi*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49개 소매업종 중 21개 소매업종들이 서울시 전체에 걸쳐 높은 군집성을 보였다. 21개 군집성향을 보이는 소매업종들의 공간적 군집패턴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도심과 부도심에 군집하는 업종으로, 일식집, 찻집, 편의점, 레스토랑, 한식집, 기원, 주점, 발마사지점, 횟집, 그리고 당구장 등 10개 소매업종이 이에 해당한다. 도심과 부도심에는 사무용 공간 및 놀이문화가 조성되어 있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통근자층(직장인층과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음식업 및 여가용 업종의 군집성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도시 외곽에 군집하는 업종으로, 전자오락실, 유아용품점, 건강보조식품점, 슈퍼/구멍가게, 화장품점, 운동화판매점, 그리고 놀이방 등 7개 소매업종이 포함된다. 서울시 외곽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거주자층(주부층과 학생층) 수요에 맞는 업종들의 군집성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한복점, 고시원, 중고가구점, 그리고 악세사리점 등 4개 소매업종은 특정 지역에 전문적으로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점은 종로5가 전문상가 위주로, 고시원은 서울대가 위치한 신림동, 봉천동과 역삼동을 중심으로, 중고가구점은 동작동, 왕십리를 중심으로, 그리고 악세사리점은 금은방이 많은 종로3가와 대학촌이 형성된 신촌을 중심으로 뚜렷한 군집성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매업 창업자에게 동종업점과의 군집성 여부 및 업종별 개점 가능한 지역 선정에 도움을 주고, 소매업 정책입안자에게는 지역별 육성업종 선택에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간배분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Location, Location, and Location! As all real entities tend to seek specific locations so the spatial relationships among similar or different real estate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real estate market trend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spatial relations of 49 types of retail stores in Seoul applying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s - Getis-Ord G and Gi*. Three objectives were to 1) explain a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s - Getis-Ord G and Gi*; 2) identify retail types which have a tendency to cluster throughout the city of Seoul; and 3) illustrate highly clustered spots of each retail types in Seoul, Korea and try to explain possibility of relations between cluster tendency of retail type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Seoul. Results showed that 21 out of 49 retail types were highly clustered on specific spots in Seoul. Among them, ten commuter-oriented retail types(e.g. Japanese Restaurant, Cafe, Chained Mart, etc) were mainly clustered in downtown and subcenters, and seven dweller-oriented retail types(e.g. Electronic Gameroom, Infant Goods, Health Goods, etc) were clustered around the inner-ring suburbs in Seoul. Four retail types(e.g. Traditional Clothes, Study Rooms, Used Furniture, etc) were clustered in specific areas in Seoul, such as JongRo-3Ga, BongChon-Dong, and SaDang-Dong.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대한 분석결과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elationship Between REITs and Financial Markets: Evidence from Korean CR-REITs
- 부동산개발사업 자금조달 구조에 관한 연구
- 공시제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감정평가사의 전문성강화방안
- 공익사업 보상평가 시 개발이익의 포함실태에 관한 연구
- 공간종속성을 고려한 골프장 수요 결정요인 연구
- 부동산거래정보망의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IFRS도입과 자산재평가의 문제점
- 국제회계기준(IFRS)의 공정가치 회계와 가치평가 전문가제도에 대한 전망
- 미분양주택의 시기별 분포특성 및 발생배경 비교
- 서울시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재건축에 있어서 개발이익환수의 범위
- 자산효과의 비교: 주택과 주식
- 영업손실의 보상요건에 관한 연구
- 부동산공시제도의 일원화에 관한 연구
- 주택건설사업 매도청구권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