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주택 재건축에 있어서 개발이익환수의 범위
이용수 73
- 영문명
- Range of Betterment Recapture in Housing Re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임윤수(Yim,YoonSo) 최완호(Choi,Wan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19권 제2호, 133~1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가 집권하면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주택공급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현 정부는 집권 전부터 신도시 개발에 의한 주택공급 보다는, 도심 재개발·재건축에 의한 주택을 공급이 바람직한 정책방향임을 밝힌 바 있다.
지난 참여정부는 저금리정책 등으로 인해 재건축사업으로 많은 자금이 유입되었고, 이러한 자금의 유입이 재건축아파트의 가격을 급등시켜 서울 및 수도권 전체 아파트의 가격을 상승시켰다고 진단했었다. 따라서 정부는 재건축아파트의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재건축사업에 대한 여러 가지 조치를 발표했었는데 그 중 핵심이 2006년 9월 25일부터 시행되어 온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도이다.
본 연구는 주택시장에 대한 재산권의 제약, 세금 등을 통한 제도적 제한 등 ‘부동산 규제’라 총칭할 수 있는 정책의 근거가 되는 주택의 공공성 개념을 법학 및 경제학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특히 불로소득과 개발이익의 개념을 가치론의 입장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came into power in February of 2008, it wa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number shifts in housing supply amid expectations of great change. The present government revealed even prior to taking the helm of government that it would be a desirable policy direction to supply housing by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n downtown areas rather than by developing new cities.
The past participatory government, diagnosed that the low-interest policy made a lot of funds flow into reconstruction projects and sent the price of reconstruction apartments skyrocketing, raising prices of apartments as a whole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The government announced several measures for reconstruction projects to stabilize the prices of such apartments, the core of which is the reconstruction excess gains recapture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September 25, 2009.
This study is aimed at approaching the public concept of housing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policy which can be collectively called ‘real estate regulations’ such as institutional restrictions through restrictions on property rights, tax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economics and especially, shedding light on the concept of unearned income and development profits from the standpoint of value theory.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의 검토
III. 주택 재건축의 공공성과 공적 규율
IV. 불로소득과 개발이익의 법리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elationship Between REITs and Financial Markets: Evidence from Korean CR-REITs
- 부동산개발사업 자금조달 구조에 관한 연구
- 공시제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감정평가사의 전문성강화방안
- 공익사업 보상평가 시 개발이익의 포함실태에 관한 연구
- 공간종속성을 고려한 골프장 수요 결정요인 연구
- 부동산거래정보망의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IFRS도입과 자산재평가의 문제점
- 국제회계기준(IFRS)의 공정가치 회계와 가치평가 전문가제도에 대한 전망
- 미분양주택의 시기별 분포특성 및 발생배경 비교
- 서울시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재건축에 있어서 개발이익환수의 범위
- 자산효과의 비교: 주택과 주식
- 영업손실의 보상요건에 관한 연구
- 부동산공시제도의 일원화에 관한 연구
- 주택건설사업 매도청구권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