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택건설사업 매도청구권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to-Request a Sale for th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신동준(Shin,DongJun) 안정근(Ahn,JeongKe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19권 제2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택법상 주택건설사업의 매도청구권 제도는 아파트 신축예정부지 일부를 선점하여 주택사업자에게 고가로 되파는 부동산 투기수법인 속칭 ‘알박기(위치선점)’를 방지하여, 토지가격을 안정시키고 주택분양가 상승 및 인근지역 토지가격의 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5년에 도입되었다.
도입이후 현시점까지 매도청구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한 민간주택건설사업자를 대상으로 그 실효성을 분석한 결과, 매도청구권제도는 ‘알박기(위치선점)’ 방지에 많은 효과가 있었으며, 택지가격 안정에 일부 기여한 바가 있었다. 그러나 이 제도만으로는 토지가격 상승을 억제하기에는 역부족이며, 그사이에도 분양가는 계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주택건설업체에서 토지소유자와 토지매수계약을 협약할 시, 토지소유자가 대상부동산에 부여하는 주관적 가치와 주택건설업체가 제시하는 가격 간에 그 차이가 너무 심해, 현행법상의 이 제도만으로 토지보상가 상승을 억제하기 힘들다. 매도청구권제도의 도입 취지는 좋지만, 행사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다 보니 주택건설업체에서 이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이 같은 관점에서 현재의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제도는 보다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A new procedure was adopted in 2005, which gives ‘the right-to-request a sale’ to developers, with the aim of stabilizing land prices, putting a break on the rampantly rising housing and land prices in and around new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nd stopping the speculative and fraudulent practice, called ‘Albakki’ in Korea, of purchasing one or more parcels of land on a project site just before the project getting underway and selling them back to the developer at much higher prices.
The analysis to find out how much effective this right=to-request a sale has been, using data gathered from private housing developers who have exercised their rights since the procedure took effect, shows that it did prevent the practice to a great degree. However, this device, in current form, fell short in curbing rampant land prices of newly-built housing units despite of the adoption of new procedure.
This kind of device, good in intent, but ineffective in practice, needs major revision. With no incentive in place for landowners to back down from asking unreasonably high prices, land compensation process goes up and negotiations tend to drag on putting pressure on developers to choose to forgo exercising their rights altogether.
목차
I. 서 론
II. 매도청구권에 관한 이론적 검토
III. 실증분석
IV. 매도청구권의 실효성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elationship Between REITs and Financial Markets: Evidence from Korean CR-REITs
- 부동산개발사업 자금조달 구조에 관한 연구
- 공시제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감정평가사의 전문성강화방안
- 공익사업 보상평가 시 개발이익의 포함실태에 관한 연구
- 공간종속성을 고려한 골프장 수요 결정요인 연구
- 부동산거래정보망의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IFRS도입과 자산재평가의 문제점
- 국제회계기준(IFRS)의 공정가치 회계와 가치평가 전문가제도에 대한 전망
- 미분양주택의 시기별 분포특성 및 발생배경 비교
- 서울시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재건축에 있어서 개발이익환수의 범위
- 자산효과의 비교: 주택과 주식
- 영업손실의 보상요건에 관한 연구
- 부동산공시제도의 일원화에 관한 연구
- 주택건설사업 매도청구권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