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소득층 가정 아동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연구의 현황과 효과
이용수 373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Effect of Counseling Programs for Low-Income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저자명
- 성지영(Sung Ji Young)
- 간행물 정보
- 『지역복지정책』제30집, 165~19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99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KCI(Koreea Citation Index)에 등록된 학술지에 게재된 77건의 논문을 분석하여 저소득층 자녀 대상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 규모를 조사하는 것이다.
저소득 가정의 자녀 대상에 대한 치료는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8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했다. 상담 개입방법은 미술 치료가 많았고, 상담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그룹 규모는 1-12명으로 구성됐다. 77개의 연구 논문 중 67개의 정량 논문에서 본 연구는 CMA V2를 사용하여 무작위 효과 모델을 통해 163 개의 효과 크기를 추출한 후 이러한 효과 크기를 양의 요소와 음의 요소로 분류 한 다음 평균 효과 크기를 계산했다. 전체 효과 크기는 긍정적 요인 (.761)보다 부정적인 요인 (-.982)에서 더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 (등급, 참여 과목 및 상담 기관), 운영 (주당 인원 및 세션 수), 종속 변수 유형 (심리 / 감정, 인지, 행동 및 지적 기능), 상담 중재 방법에 의한 평균 효과 크기를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어린이들이 자신의 환경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심리적, 정서적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효과적인 그룹구성 및 운영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effects of counseling programs for low-income children by analyzing 77 papers published in KCI (Koreea Citation Index) from 1999 to December 2016.
Treatment for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began in 1999 and has increased gradually since 2008. Counseling interventions consisted of a lot of art therapy. The subjects of counseling consisted of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group of 1-12 people. In 67 quantitative papers out of 77 research papers, this study extracts 163 effect sizes from a random effect model using CMA V2, classifies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and then calculates the average effect size. di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higher for the negative factor (-.982) than for the positive factor (.761).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s, participating subjects and counseling agencies), operations (persons and sessions per week), dependent variable types (psychological /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intellectual functions), average effect size by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s Was extracted and compare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effective groups that carry ou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to help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grow healthy in their own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