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중년세대의 부모, 자녀관계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8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 and Child Relationships on Marriage Intimacy in the New Middle-age Generation - Focusing on cognitive, emotional and sexual intimacy
- 발행기관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저자명
- 이국권(Lee Kuk Kwon) 박진복(Park Jin Bok)
- 간행물 정보
- 『지역복지정책』제30집, 94~11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남도 신중년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연구로써 충남 15개 시·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중년의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은 배우자관계 3.37, 부모관계 3.35, 자녀관계 3.32였으며,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 3.61, 자녀양육비용 부담 3.41, 부모 정서적 부양 3.38, 배우자 성적 친밀감 3.34, 부모 신체·경제적 부양 3.33, 자녀양육 부담 3.25,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 3.11로 나타났다.
배우자 친밀감 차이는 신중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친밀감은 직업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타 직업을 가진 신중년이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중년의 부모, 자녀가 배우자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면,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 정서적 부양이 좋을수록 배우자 인지적 친밀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 정서적 부양, 부모 신체·경제적 부양이 좋을수록 배우자 정서적 친밀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retirement in the Chungcheongnam-do, Korea. Recognition of family relations in prudential years was spouses 3.37, parents 3.35, children 3.32, spouse cognitive intimacy 3.61, child support costs 3.41, parents emotional support 3.38, spouse sexual intimacy 3.34, parents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3.33, Childcare burden 3.25, and spouse emotional intimacy 3.11.
The difference of spousal intimacy was significant in the emotional intim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rudent year.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affection of the spouse s intimacy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of the prudent year, the effect of the spouse s cognitive intimac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pouse s cognitive intimacy.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parental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pouse emotional intim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