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정치성향이 정치관심 및 정치신뢰, 정치효능감,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7

영문명
The Effect of Women s Political Tendency on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Trust,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Socialization - Focused on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san and Hongseong, Chungnam
발행기관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저자명
김진욱(Kim Jim Wook) 최향옥(Choi Hyang Ok)
간행물 정보
『지역복지정책』제30집, 75~9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 홍성에 거주하는 중년층 여성들의 보수, 중도, 진보성향에 따른 정치관심, 정치신뢰 및 정치효능감과 정치사회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부분 정치성향 요인에 따른 정치성향별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치인에 대해서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고, 이 결과는 정치성향을 초월하는 태도나 평가로 보인다. 또 정치의 일반적인 관심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이 높았다. 여성이 나라의 지도자가 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현재 여성이 정치영역에서 소외된다고 인식하지만, ‘18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직접적 요인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정치관심과 정치신뢰, 정치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치관심 2(정당 및 정치인에 대한 직접적 관심_담화 및 TV 연설 시청, 투표 참여 및 참여의사 등), 또 정치신뢰 2(현 정부의 행정 및 국민의견 수용에 대한 신뢰 항목), 정치효능감은 정치에 대한 일반적 효능감인 정치효능감 1(정치에 대한 개인의 영향력과 투표 결과에 대한 효능)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soci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san and Hongseo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s a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political tendency are significant. Factors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are negative evaluations of politicians. These results are attitudes and evaluations that transcend political tendencies.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election campaigns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endency in the factor of political socialization, because women had littl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elec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2, the general interest of politics is related to other factors. The more positive the woman is to become a leader, the more women are alienated from the political sphere. However,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s not a direct factor.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re partially relevant to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efficacy. In particular, political interest 2(direct interest in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watching TV speeches, voting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ng intention), political trust 2(trust in administrative and public opinion acceptance of the current governmen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n efficacy 1(individual influence on politics and efficacy on voting results).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욱(Kim Jim Wook),최향옥(Choi Hyang Ok). (2019).여성의 정치성향이 정치관심 및 정치신뢰, 정치효능감,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지역복지정책, 30 , 75-93

MLA

김진욱(Kim Jim Wook),최향옥(Choi Hyang Ok). "여성의 정치성향이 정치관심 및 정치신뢰, 정치효능감,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지역복지정책, 30.(2019): 75-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