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cking Definitions of Social Security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Official Dictionary of Nor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이철수(Lee, Chul so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4권 제1호, 161~1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회복지와 관련된 용어들을 역사 서술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개념적 정의에 대한 통시적 동학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용어는 ‘사회보장’과 ‘사회보장제’등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의 공식사전을 분석기제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의 사전을 중심으로 시대적 구분을 통한 문헌조사기법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였다. 분석결과, 북한 사회보장(제)의 ① 적용대상, ② 급여, ③ 재정, ④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그 동학을 추적하면 1985년을 기준으로 양분된다.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이때부터 김일성과 김정일의 은혜와 배려를 동시에 강조하였다. 둘째, 이 시기 북한은 적용대상의 보편주의와 급여 종류의 구체적 진술이 나타난다. 셋째, 재정은 기존의 1970년대 내용과 거의 동일하였다. 넷째, 전달체계는 모든 시기에서 시설보호를 제외한 별도의 언급이 부재하였다. 다섯째, 실업보호와 관련한 직접적인 급여가 전 기간에 걸쳐 부재하였다. 반면 내용 중심으로 접근하면, 북한은 시간의 경과에 비례하여 1985년까지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고 이후 정체되었다. 또한 북한은 시간의 경과에 대비하여 설명과 진술의 구체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1950년대의 소극적 진술이 시간에 비례하여 적극적인 진술로 발전하는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1985년 이후 2002년까지 사실상의 큰 내용 변화가 없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보편성과 북한체제의 특수성이 동시에 나타났다. 사회주의체제의 보편성의 경우 적용대상의 보편주의와 국가공로자의 우대로 대표된다. 특수성의 경우 북한은 ‘사회보장’과 ‘사회보장제’에 대해 통치자인 김일성과 김정일의 시혜를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iachronic dynamics of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terms related North Korean social welfare by approaching with historical narrative method. In this study, the terms to be analyzed are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curity system et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official dictionary of North Korea as an analyzer. Accordingly, this study was followed up chronologically with period division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based on the dictionary of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ynamics of North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can be divided based on 1985 with tracing focusing on coverage, benefits, finances, and delivery system. The major feature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is year, the grace and consideration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were both emphasized. Second, in this period, North Korea shows specific statements of universalism of the coverage and kinds of benefits. Third, finance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1970s. Fourth, the delivery system did not have a separate reference except for protection of the facility at all times. Fifth, direct benefits related to unemployment protection were absent throughout the period. On the other hand, with a content-oriented approach, North Korea showed progressive development until 1985 over the passage of time and then stagnated. Also, North Korea, looking at the specifics of explanations and statements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time, showed passive statements of the 1950s developed into active statements. However, from 1985 until 2002, there is no substantial change in content. In addition, the universality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specia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appeared simultaneously in the process. The universality of the socialist system is represented by the universalism of the coverage and the preference of the people of national merits. In case of specialty, North Korea emphasized the sincerity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as rulers for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curity system .
목차
Ⅰ. 서론
Ⅱ. 1950년대~1970년대
Ⅲ. 1980년대~1990년대
Ⅳ. 2000년대 이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