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매니페스토를 활용한 정책선거 활성화 과제

이용수  138

영문명
Policy Election Activation Challenge Using Manifest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최정진(Choi, jeong-jin)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4권 제1호, 3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정치에서 매니페스토의 지체원인 및 대안을 탐색하고자 매니페스토 실천 및 문제해결 실천지향성을 학술연구 및 자료를 통해 주로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기존의 논의를 구조적, 행위자적, 환경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해당 과제의 대안을 시론적 의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네트워크 사회로 형상화되며, 각 개인과 집단은 사회의 원자화된 모듈로서 정체성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정치적 의견을 제시하거나 구체적인 목표를 확립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정치행위에 대한 상호실패에 대한 대안적 의제를 제시할 수 있는 환경(시민참여형, 개방형 등)이 활성화된다면 더 큰 정치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매니페스토의 약점으로 꼽히는 정치의 현재화, 즉 체제에 대한 보다 긴 안목의 정치적 자세가 결핍되어 단기간의 이익에 몰두하는 정치행태의 한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매니페스토 가운데 정치참여와 절차, 운영에 대한 자발성이 시민사회에 뿌리내리고, 이의 해석과 판단에 대한 협업이 운동의 맥락에 내재되어 학습될 수 있다고 본다. 매니페스토 정책선거가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배태할 수 있는 만큼, 성숙한 정치문화의 형성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nifesto practice and problem-oriented practice orientation through academic studies and data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s and alternatives of manifesto in Korean politics. In addition,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divided into structural, actor,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to propose alternatives to the task in a poetic sense. Modern society is embodied as a network society, and each individual and group is an atomized module of society that has the conditions to present their political opinions or establish specific goals based on identity. In addition, if the environment (civil participation type, open type, etc.) that can present alternative agenda for mutual failure of political action is activated, greater political development can be led.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o present a positive answer to the limitations of political behavior, which is one of the weaknesses of Manifesto, that is, lack of a longer-looking political attitude toward the system. Among the manifesto, voluntary participation in political participation, procedures, and operation is rooted in civil society, and collaboration on interpretation and judgment can be learned inherent in the context of the movement. As the Manifesto Policy Election will be able to include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t will also help build a mature political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한국 매니페스토 운동 특징
Ⅳ. 매니페스토 활성화 과제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진(Choi, jeong-jin). (2020).매니페스토를 활용한 정책선거 활성화 과제. 한국과 국제사회, 4 (1), 31-58

MLA

최정진(Choi, jeong-jin). "매니페스토를 활용한 정책선거 활성화 과제." 한국과 국제사회, 4.1(2020): 3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