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 신념,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이용수 208
- 영문명
-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beliefs and achievement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찬규(Park, Chankyu)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4권 제7호, 235~2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동기, 학습신념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학생들은 대학 1학년인 49명으로 전공 선택인 영어강좌를 수강하였으며, 한차례 모의 TOEIC 시험에 응시하였다. 그룹 간 학습동기, 학습신념의 차이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학습동기, 학습신념 그리고 학업성취도 변인 간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간 학습신념 비교에서 신념1이 그룹 간 차이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신념5가 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신념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학습동기의 비교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인들이 TOEIC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계속동기와 자기조절효능감이 교과 성적에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TOEIC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신념1로 조사되었으며, 학생들의 교과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신념1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glish learners’ motivation, beliefs and academic achievements, with a group of 49 first-yea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on their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beliefs about foreign learning. They also took a mock TOEIC test and took an elective English cours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llow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and the correlation among motivation, beliefs and achievem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belief 1’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hile ‘belief 5’ was the highest belief held by students. Second, ‘self-efficacy’s variables’ were predicted to have an impact on student’s achievement in TOEIC, while ‘continu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efficacy’ were the more significant factor for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elective course. Finally,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have an impact on TOEIC score were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belief 1, while ‘belief 1’ was found to be the only variable to encourage students to strive for a better credit from their elective English cours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공관련학과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를 활용한 관광 영어 수업에 대한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 신념,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여가·위락·휴식 목적 방한 개별관광객의 다목적지 관광 특성 및 만족도 연구
- 온라인 예약 채널 품질 속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특성에 따른 탄소성적표지 인증호텔에 대한 소비자 반응
- 외식소비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의 언어적·비언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 항공사의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길거리 음식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리더-멤버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에 따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국내항공사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고객의 자아일치성과 고객가치, 고객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