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cotourism Activation Plan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지윤호(Ji, Yunho) 한장헌(Han, Jangheon)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4권 제7호, 143~1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중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주요 포털사이트나 SNS상에서 나타난 생태관광에 관한 텍스트 간의 연결망을 통해 텍스트의 의미와 키워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나타난 생태관광과 관련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련 인식과 행태에 대해 통찰하고 미래 생태관광의 방향성과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관광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정책의 수립 및 마케팅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생태관광 동반한 키워드는 ‘자연’, ‘여행’, ‘환경’, ‘지역’, ‘프로그램’, ‘체험’, ‘조성’, ‘제주’, ‘개최’, ‘관광객’, ‘진행’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클러스터 분석 결과, ‘제주 에코파티’, ‘생태관광 페스티벌’, ‘바라지 생태관광’ 등 생태관광의 주요 축제 및 이벤트로서 이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중심적으로 3개의 군집으로 형성되었다. 결국 지속 가능한 관광의 대표적인 관광형태인 생태관광의 활성화는 현재 제주도, 서울 북촌한옥마을 등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 관광산업의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was to generate at the tourist’s perception of ecotourism by social big data. Data were gathered from Naver, Daum and Goggle as analysis social big data channels.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3,851 words were gathered related in keyword of ‘ecotourism’ for big data research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earch period was limited to three years from Jan. 1, 2016 to Dec. 31, 2018. Keyword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drawn by NodeXL through data mining for programs such as textom.
As results, first, various keywords related in ecotourism such as ‘nature’, ‘trip’, ‘environment’, region‘’, ‘program’, ‘experience’, ‘composition’, ‘jeju’, host‘’, ‘tourist’, ‘taehwa river’, siheung‘’, tourist attraction‘’, ‘gimpo’, ‘event,‘ ’culture‘ were extracted.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otal three groups were formed. Confident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a marketing strategy for ecotourism as a result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study. Therefore, the activation of ecotourism, which is a typical tourism form of sustainable tourism,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the Korean tourism industry, which is suffering from overtourism such as Jeju Island and Bukchon Hanok Village in Seou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항공관련학과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를 활용한 관광 영어 수업에 대한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 신념,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여가·위락·휴식 목적 방한 개별관광객의 다목적지 관광 특성 및 만족도 연구
- 온라인 예약 채널 품질 속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격특성에 따른 탄소성적표지 인증호텔에 대한 소비자 반응
- 외식소비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의 언어적·비언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 항공사의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길거리 음식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 시멘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리더-멤버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에 따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국내항공사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고객의 자아일치성과 고객가치, 고객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