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테러 대응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ponse system against Terrorism in Foreign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문현철(Moon, Hyeon-cheol)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1권 제4호, 108~133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외 테러 대응 체계의 개선방안으로는 정부예산 중 테러방지 예산 및 외교부예산의 증액이 가장 시급하다. 테러 대응 현지 공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영사인력의 증원이 필요하고, 테러의 유형 중 납치,해적 등에 대한 전문 협상인력과 전문구조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테러 대비 대응 훈련에 교민사회가 적극 참여하도록 해야 하고, 공관과 주재국 정부 및교민사회간의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주재국에서 정보수집 역량도 강화 되어야 한다.
주재국과의 공공외교를 통하여 친밀감을 확산 시키고, 파트너 쉽을 강화 하는 것 또한 해외 테러로부터 우리 여행객과 체류국민을 보호하는 길이다.
영문 초록
A way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against terrorism in Foreign Countriesis to increase the budget for anti-terrorism and the budget for the foreign minist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missions to respond to terrorism, we need to foster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onsul.Of the types of terrorism, the government should foster professional negotiators and rescue expert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Korean community is actively involved in the training of counterterrorism, and to establish governance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embassy and the host country and the Korean community. The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host country should also be strengthened.
The way to protect our tourists and Stay people from international terrorism is to spread the sense of closeness and strengthen partner convenience through public diplomacy with the host country.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테러 발생의 새로운 환경
Ⅲ. 해외 테러 대응 체계의 문제점 검토
Ⅳ. 해외 테러 대응 체계의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관리 및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테러범죄에 대한 통신제한조치의 법적 검토
- 경찰행정 경력경쟁채용시험 응시자격 합리화 방안 연구
- 독일 정보기관의 대테러정책에 대한 의회의 통제방안 연구
- 한국의 철도테러 가능성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해외 테러 대응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공공임무용 드론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연구: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중심으로
- 테러리즘에 대한 범죄학적 고찰 및 대책
- 한국의 對테러정책에 관한 연구: 집행구조의 다조직적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남북교류 확대를 대비한 방북 한국인의 신변안전 보호방안 모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