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이용수 96
- 영문명
- Evaluating Quadriceps Muscle Damage after Downhill Running of Different Intensities using Ultrasonography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선민규(Sun Min Ghyu) 김춘섭(Kim Choun Sub) 김맹규(Kim Maeng Kyu)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3호, 1028~104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리막 달리기(downhill running, DR) 후 초음파 영상분석을 이용해 대퇴사두근 무리 (quadriceps group, QG) 내 근손상의 국소화 여부를 검증하고, DR 동안 운동 강도가 운동유발성 근손상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및 근육 반향세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없는 건강한 남성 11명이 무작위 교차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 [low-intensity DR session(50%HR max ), LDR; high-intensity DR session(70%HR max ), HDR]의 DR 운동을 수행하였다. DR 후 EIMD의 심각성은 혈청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 활성 수준 변화와 함께 신경근 기능 지수로서 무릎 신전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및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변화를 통해 결정되었다. 회색조 분석을 적용한 근육 반향세기 평가는 DR에 따른 QG 내 국소 근육별(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손상 양상을 탐지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모든 세션에서 혈청 CK 활성 수준과 VL 및 VM의 근통증 정도는 운동 후 24시간째(RF의 경우 각각 LDR 24시간째와 HDR 48시간째) 최대에 이르렀으며, 혈청 CK 수준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 p <.05)가 나타난 반면 근통증에서 세션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무릎 관절을 이용한 MVIC 및 ROM과 같은 신경근 기능 지표 및 VM을 제외한 모든 QG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직후 극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 후 72시간까지 점진적 회복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경근 기능 지표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RF 및 VL 반향세기에서 세션 내 및 세션 간 유의한 차이( p <.0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ECC를 함유한 DR 운동 시 운동 강도는 DOMS 및 신경근 기능 지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혈청 CK 수준과 함께 RF 및 VL의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강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결과는 DR 동안 ECC를 겪는 QG 내 국소 근육 간 근손상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초음파 근육 반향세기가 국소 근육의 EIMD 심각성을 차별화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기법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gnitude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after downhill running (DR) of different intensities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muscle echo intensity as biomarkers to detect regional damage within quadriceps muscle group (QG) following DR. Healthy college-age men (n=11) were experienced twice DR sessions [50%HR max DR, LDR; 70%HR max DR, HDR] separated by a 2-week wash-out period with the random order. After DR, severity of EIMD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were determined by serum creatine kinase (CK) activity, muscle tenderness,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dicators such as a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range of motion (ROM). Transvaginal B-mode imaging had been employed to evaluate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within QG [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After both DR sessions, changes in serum CK activity and muscle tenderness have tended to more increase in HDR compared to those of LD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intensity during DR and the time course of serum CK activity( p <.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muscle tenderness. The time course of changes in the neuromuscular functions after DR were similar to those of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regardless exercise intensity. Although neuromuscular function showed to decline in HDR more than those of LDR after DR,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ssions and time course of changes in RF and VL muscle echo intensity( p <.01), but not shown in those of VI and V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muscles within the QG show different response profiles for EIMD during DR, exercise intensity influences on these responses as well. In particular, current findings suggested that muscle echo intensity derived from ultrasound imaging is capable of detecting regional muscle damage in QG following DR.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부 투과 펩티드가 함유된 리포좀을 이용한 주름 개선 펩티드 GHKs의 피부 흡수 증진
-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at different intensities on hippocampal neurotrophic factors and peripheral CCL11 levels in obese mice
- 프로테아제 종류에 따른 이용한 연산 오계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 특성
- 간호 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복합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의 응용
-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골프 퍼팅 시 엘리트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 분석
- 한국유화학회지 제36권 제3호 목차
- 플랭크 운동의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전도 비교분석
-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
- PMF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PM 2.5 오염원 기여도 분석
-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 항산화 효소의 산화적 변형에 뽕잎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 A review of osteosarcopenic obesity related to nutritional intake and exercise
-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 간호리더를 위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CMB 수용모델을 이용한 PM 2.5 의 오염원 기여도 분석
-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 Oleic acid의 여러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Cholesterol계 유도체의 영향
-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Both endurance- and resistance-type exercise prevents neurodegeneration and cognitive decline in mice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스포츠 상품 수집가의 스포츠 제품 소개를 접한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신뢰도, 충성도, 구매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 황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 당뇨 효과
- A study o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of the Arthrospira platensis ethanol extract
-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좋은 죽음인식, 영적안녕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천연헤나 처리 후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 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라이프스타일 및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평창 동계올림픽 공식후원사의 브랜드 유형에 따른 스폰서효과 분석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