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랭크 운동의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전도 비교분석
이용수 173
- 영문명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uscle Activities in Plank Exercise with and without Thera-band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유신(You-S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3호, 758~76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랭크 운동 시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75±0.57 세; 신장, 173.33±1.34cm; 체중, 65.92±1.64kg; 신체질량지수, 21.93±0.46kg/m 2 ), 풀 플랭크, 엘보우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및 리버스 플랭크 운동은 4가지의 세라밴드(사용 안함(WT), 빨간색(RT), 파란색 (BT), 은색(ST))를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척추기립근(ES), 삼각근(DA), 외복사근 (EO), 복직근(RA), 대퇴직근(RF), 광배근(LD), 대흉근(PM), 및 대퇴이두근(BF)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풀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 <.05), EO, RA,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05).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 p <.05),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 <.05). 사이드 플랭크 동작 시 ES,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05). 그리고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DA,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플랭크 운동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uscle activities in plank exercise with and without thera-band. Twelve healthy adult males(age, 21.75±.57 years; height, 173.33±1.34 cm; body mass, 65.92±1.64 kg; and BMI, 21.93±.46 kg/m 2 )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Plank exercises(full, elbow, side, and reverse plank) were performed with four different thera-band in without(WT), red color(RT), blue color(BT), and siver color(ST). We measured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erector spinae(ES), deltoideus p. acromialis(DA), external oblique(EO), rectus abdominis(RA), rectus femoris(RF), latissimus dorsi(LD), pectoralis major(PM), and biceps femoris(BF).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ES and DA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full plank performed with the WT( p <.05). EO, RA, RF, and PM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full plank performed with the ST( p <.05). ES and DA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elbow plank performed with the WT( p <.05). RF and PM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elbow plank performed with the ST( p <.05). ES, EO, RA, RF, LD, PM, and BF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side plank performed with the ST( p <.05). DA, EO, RA, RF, LD, PM, and BF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reverse plank performed with the ST( p <.0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reference materials for plank exercise applications in training programs for body muscle strengthening.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부 투과 펩티드가 함유된 리포좀을 이용한 주름 개선 펩티드 GHKs의 피부 흡수 증진
-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at different intensities on hippocampal neurotrophic factors and peripheral CCL11 levels in obese mice
- 프로테아제 종류에 따른 이용한 연산 오계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 특성
- 간호 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복합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의 응용
-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골프 퍼팅 시 엘리트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 분석
- 한국유화학회지 제36권 제3호 목차
- 플랭크 운동의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전도 비교분석
-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
- PMF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PM 2.5 오염원 기여도 분석
-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 항산화 효소의 산화적 변형에 뽕잎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 A review of osteosarcopenic obesity related to nutritional intake and exercise
-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 간호리더를 위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CMB 수용모델을 이용한 PM 2.5 의 오염원 기여도 분석
-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 Oleic acid의 여러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Cholesterol계 유도체의 영향
-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Both endurance- and resistance-type exercise prevents neurodegeneration and cognitive decline in mice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스포츠 상품 수집가의 스포츠 제품 소개를 접한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신뢰도, 충성도, 구매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 황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 당뇨 효과
- A study o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of the Arthrospira platensis ethanol extract
-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좋은 죽음인식, 영적안녕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천연헤나 처리 후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 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라이프스타일 및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평창 동계올림픽 공식후원사의 브랜드 유형에 따른 스폰서효과 분석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