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콜드 커넥션 유닛 제작 사례 연구
이용수 267
- 영문명
- A Study of Case Making Cold Connection Unit - Focusing on Making Screw Unit Using a Lathe Machine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현광훈(Hyun, Kwang-hun) 고보형(Koh, Bo-hy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2집 3권, 201~2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속을 접합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열을 사용하는 방법, 물리적인 결합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중 열을 사용하는 방법은 용접, 브레이징(Brazing), 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재질에 따라 다양한 접합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열을 사용하는 방법은 금속의 성질과 형태의 변형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물리적인 방법은 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콜드 커넥션이라 불리며, 열에 의한 변형이 없다. 또한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부분적인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고 타 재료와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금속공예에서 콜드 커넥션 기법은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콜드 커넥션 결합을 할 경우 겉으로 유닛이 드러나게 되어 조형적인 부분에 있어서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중에 판매되는 콜드 커넥션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이질감이 생겨 더욱 도드라져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금속공예에서 콜드 커넥션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여 금속공예 작품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와 제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업에서 사용되는 콜드 커넥션 종류와 기능을 분석해보았으며, 그 중 활용도가 높은 리벳과 나사를 중심으로 제작 방법을 연구해보았다. 금속공예에서 많이 쓰이는 황동을 주로 사용하여 유닛을 제작하였고 겉으로 드러나는 유닛의 머리 부분의 형태를 가급적 단순한 형태로 만들면서 온전한 기능을 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유닛 제작 과정은 주로 선반 밀링을 이용한 절삭 가공 기법을 사용하였다. 산업에서 주로 쓰이는 제작 기법과 결합 기법을 공예에 적용한 이번 연구를 통하여 콜드 커넥션 기법이 자주 사용되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되기를 바라며 공예의 대중화와 영역의 확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three main methods of joining metals. It is a thermal joining method, mechanical joining method, and a method of using an adhesive. Among them,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brazing, soldering, etc. are used, and various methods are used according to materials. However, the method of using heat has the disadvantage of bringing about a change in the properties and form of the metal. On the other hand, the mechanical joining method is called a cold connection because it does not use fire, and there is no heat deformation. In addition, disassembly and assembly is possible, so that partial modification or deformation and that can b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However, despite many advantages, the cold connection technique is not widely used in metal craf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cold connection is combined, the cold connection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hinders the aesthetic. What s more, if you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cold connection unit, you ll get dissatisfied and look even stronger.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suggest the form and making process that can be used in metal craft work by studying the method of using cold connection technique in metal craft. To do this,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cold connection used in the industry, and researched the making process of rivets and screws with high utilization. The unit is made mainly of brass, which is widely used in metal crafts, and the unit s head is made to be as simple as possible and to function as a whole. The unit fabrication process mainly used lathe&milling machine. Through this research, which is applied to crafts, which is mainly used in the industry, the cold connection technique is frequently used and hopes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배경 및 범위
Ⅱ. 콜드 커넥션(Cold Connection) 기법
1. 콜드 커넥션(Cold Connection)의 정의
2. 콜드 커넥션(Cold Connection)의 종류
Ⅲ. 리벳과 나사 제작 방법
1. 리벳
2. 나사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 도예의 집적과 반복에 관한 표현연구
- 콜드 커넥션 유닛 제작 사례 연구
- 드로잉에 있어서 선(線)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시각(視覚)과 촉각(触覚)의 경계에 있는 존재의 부재에 관한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22권 제3호 목차
-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중추신경계의 반응
- 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실행에 관한 연구
- 나움 가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선의 율동성 연구
- 스마트 도시재생 콘텐츠 구현을 위한 VR 시뮬레이션 연구
- 도시난민을 위한 쉘터의 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턴의 특징 연구
- 미술공예운동의 현실적 적용과 그 한계
- 현대 그래픽디자인에서 현지화와 국제화에 관한 연구
- 신미경의 비누 조각에 나타난 메멘토 모리의 변용과 재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