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공예운동의 현실적 적용과 그 한계

이용수  2,135

영문명
The Real Application and Limitation of Arts & Crafts Movement - Focusing on the Morris & Co. and its Critical Succession -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조명숙(Cho, Myeong-sook) 장미연(Jang, Mee-yeo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2집 3권, 115~1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현대 공예의 발전적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모리스에 의해 일어나고 주도된 미술공예운동의 핵심적인 주장과 이것의 현실적 적용으로서 모리스 상회의 경영 원칙 및 내용을 검토하여 그 의의와 한계점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영향을 받은 여러 계승 양상 가운데 공예의 ‘산업화’에 초점을 맞춘 미국적 수용 및 변용을 루이스 티파니(Louis Comfort Tiffany)가 중심이 되어 운영된 티파니 회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미술운동과 연결되거나 혹은 공예가의 독자적인 활동 가능성의 모티프가 된 공방공예가 모리스에게 의해 촉발된 공예의 ‘예술성’에 주목한 것임에 유의하여 인간성 회복의 통로로 공방공예를 주도한 버나드 리치(Bernard Leach)의 공방공예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모리스뿐만 아니라 루이스 티파니와 버나드 리치에 대한 국내의 선행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모리스 상회의 경영과 그 한계, 그리고 이후 전개된 계승적 양상을 정리 검토하였다. 부가적으로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대응 속에서 이들이 각기 추구한 ‘지속 가능한 산업성’과 ‘인간 중심의 예술성’이라는 지향점이 주는 의미에 유의하여 산업성과 예술성 사이에서 한국 공예의 산업적 노력과 공예 진흥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2019년 현재적 상황에서 향후 나아갈 방향과 연관하여 제한적이지만 반성적 성찰과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e arguments of the arts & crafts movement triggered and led by William Morris and the management principles and contents of Morris & Co. as a realistic application of thi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odern crafts. Among the various successions affected by Morris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America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industrialization of crafts were reviewed focusing on Tiffany Company operated by Louis Comfort Tiffany, and furthermore, the crafts that became connected with various art movements or became the motif of the possibility of the artist s own activities were triggered by Morr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ave examined Bernard Leach s workshop crafts which led the workshop crafts as a path to recovery of humanity. And this paper reviewed the management, limitations of Morris Chamber of Commerce and the succession aspects that were developed afterwards. The meaning of each direction is sustainable industrialism and human-centered artistry. In relation to the industrial direction of crafts and various attempts to promote crafts in 2019, we tried to present limited but reflective reflections and their meanings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between industrialist and artistry.

목차

Ⅰ. 서 론
Ⅱ.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과 모리스 상회
1. 미술공예운동 전개와 모리스 상회의 경영
2. 모리스 상회의 경영과 남겨진 문제
Ⅲ. 미술공예운동의 계승과 변용
1. 미국적 수용과 변용 – 루이스 티파니를 중심으로
2. 공예공방의 구체화 – 버나드 리치의 공방공예를 중심으로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명숙(Cho, Myeong-sook),장미연(Jang, Mee-yeon). (2019).미술공예운동의 현실적 적용과 그 한계. 조형디자인연구, 22 (3), 115-133

MLA

조명숙(Cho, Myeong-sook),장미연(Jang, Mee-yeon). "미술공예운동의 현실적 적용과 그 한계." 조형디자인연구, 22.3(2019): 11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