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움 가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선의 율동성 연구
이용수 374
- 영문명
- A Study in Rhythmic Movement of Line in the Artwork of Naum Gabo -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Variation and Repetition’ by Gilles Deleuz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호연(Kim, Ho-yeon) 송윤진(Song, Yun-j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2집 3권,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나움 가보(Naum Gabo, 1890-1977)는 러시아의 구축주의를 이끌며 비어있는 공간을 조형화하고자 한 작가이다. 그는 3차원의 조형을 시간의 개념이 함축된 4차원의 움직이는 조형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선의 반복적인 배열을 활용한다. 가장 잘 반영된 작품은 <구형의 테마에 대한 반투명한 변형>(Translucent Variation on Spheric Theme, 1937), <공간 내 선의 구조물>(Linear Construction in Space, 1940-1962) 시리즈이다.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는 미세한 차이의 무수한 반복으로 생성의 에너지가 발생한다고 말하며 예술의 창조성도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차이가 반복됨으로써 주체적으로 발생하는 동력이 예술에서의 리듬을 형성한다고 역설한다. 따라서 들뢰즈의 이론을 토대로 가보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선의 율동성의 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정한 창조로서의 예술에 대한 해석의 근거를 마련하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의 이론을 분석하고 차이가 반복됨으로써 느껴지는 율동성의 원리를 고찰하여 가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동세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움 가보의 작품에서 인지되는 율동성은 들뢰즈 철학의 근본적인 전제인 ‘차이’가 연속됨으로써 발생한다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Naum Gabo (1890-1977) was a leading Constructivist artist in Russia, sculpting with negative spaces. He utilizes the repetitive sequence of lines to exp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o four-dimensional mobile structures to include the concept of time. This is best reflected in and the series of .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stated that the energy of creation emerges from countless repetition of microscopic variations, and that such applies to the creativity of art. Furthermore, he affirmed that the autonomous kinetic energy from the repetition of variations formulates a rhythm in art.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principles in the rhythm of lines discovered in Gabo’s Artwork based on the theories of Deleuze.
In doing so, visual movement in Gabo’s pieces is analyzed thus: an analysis on Deleuze’s theory of variation and repetition reinforcing an interpretation of art as true creation, and a contemplation of the principle of movement in the repetition of variation. The following study defends that the rhythm identified in the movements of Naum Gabo’s masterpieces derives from the repetition of variation stated in the philosophy of Deleuze.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고찰
1.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2. 차이에 의한 율동성
Ⅲ. 나움 가보 작품의 율동성
1. 나움 가보의 작품 세계
2. 나움 가보 작품에 나타나는 율동성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 도예의 집적과 반복에 관한 표현연구
- 콜드 커넥션 유닛 제작 사례 연구
- 드로잉에 있어서 선(線)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시각(視覚)과 촉각(触覚)의 경계에 있는 존재의 부재에 관한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22권 제3호 목차
-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중추신경계의 반응
- 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실행에 관한 연구
- 나움 가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선의 율동성 연구
- 스마트 도시재생 콘텐츠 구현을 위한 VR 시뮬레이션 연구
- 도시난민을 위한 쉘터의 특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
-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턴의 특징 연구
- 미술공예운동의 현실적 적용과 그 한계
- 현대 그래픽디자인에서 현지화와 국제화에 관한 연구
- 신미경의 비누 조각에 나타난 메멘토 모리의 변용과 재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