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Flash Points for the Water+2-Propanol System Using Open-Cup Apparatu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하동명(Ha, Dong-Myeong) 이성진(Lee, Sung-Ji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1 No.2, 48~5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혼합물의 인화점에 대한 지식은 산업 현장에서 화재화재 예방 및 방호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water+2-prop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 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Van Laar 모델식과 NRTL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값들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Van Laar 모델식과 NRTL(non random two liquids) 모델식에 의한 예측값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하였다. 이는 water+2-propanol 계와 같은 비이상용액의 활동도 계수값을, Van Laar 및 NRTL 모델식이 Raoult의 법칙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때문이다. 또한, Van Laar 모델식의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NRTL 모델식의 그것 보다 우수하였다.
영문 초록
The knowledge of the flash point of the mixtures is very important for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fire in the industrial field. The flash points for the water+2-propanol system were measured by using Tag open-cup apparatus(ASTM D1310-86).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Raoult's law, the Van Laar equation and the NRTL(Non Random Two Liquids) equation.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Van Laar and NRTL equation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the Raoult's law. It was concluded that Van Laar and NRTL equation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aoult' law at describing the activity coefficients for non-ideal solution such as the water+2-propanol system. And the predictive curve of the flash poi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Van Law equation described the experimentally-derived data more effectively than was the case when the prediction model was based upon the NRTL equ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water+2-propanol계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 소방재원의 조달여건 및 조달방안에 대한 소방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금속분말-난연제 함유 ABS의 난연 특성 평가
- 화재에 의한 흡입연기의 호흡기 내 침착에 관한 연구
- 전기화재 원인진단을 위한 사례기반 시스템 구축
- 화재시 콘크리트 요소 폭렬영향성 고찰
- 긴급구조 정보시스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GIS 공간통계를 이용한 도심화재예측지도 제작기법 탐색
- 분기배관의 강도해석에 관한 연구
- 선박기관구역 미분무수 소화설비 화재진압 성능 평가
-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원인과 결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직무특성, 역할혼돈, 동료관계와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 테러대응 준비단계의 위기관리체제 구성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소방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 유아교사의 기본응급처치 의식에 관한 연구 - 전북 군산.전주시를 중심으로 -
- 성능기반 화재모델(FDS)을 이용한 원전 방화지역 화재위험 분석조건에 대한 민감도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39, No.3 Contents
- Impact of Particle Size Variation on Smoke Transport and Wall Deposition
- Impact of Pyrolysis Behavior and Residue Formation on Fire Growth Predictions in Polymer Fir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