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창의성 교육을 위한 알파벳 그림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8
- 영문명
- A study of creativity education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in primary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리(Kim, Hae-Ri)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7권 4호, 95~1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how creativity education could be fostered in primary English considering primary English teachers’ respons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researcher first planned a teacher training session for primary English teachers. During the session, alphabet picture books written in English were introduced as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of creativity education in primary English. Prior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session, a number of teachers did not recognize alphabet picture books as good resources in creativity education, but rather as easy materials in teaching letters, phonics or words to beginning learners or young children. After the sess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alphabet picture books had changed positively and they came to think that creativity education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in primary English could be possible. Based 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responses, the researcher selected 10 alphabet picture books and suggested guidelines of creativity education using these books. Finally, som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On the Perception of Child Learners’ English Vowels in a Context of Minimal Input
- The Role of Task Types and Prior Word Knowledge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 중학생의 영어 문법용어 학습 경험 분석
-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에 대한 혼합 연구 방법론적 접근: 동기에서 탈동기
- How Much Vocabulary is Necessary for the Englis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초등영어 창의성 교육을 위한 알파벳 그림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