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Different voices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English on English education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신(Lee, Hyoshin) 전지현(Jeon, Jihyeo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7권 4호, 145~1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 properly link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to improve Korean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One thousand and thirty nine English teachers in Daegu responded to online surveys about their expectation (assessed in 2010) and their evaluation (assessed in 2016) of the success of the policies after 6 years of implementation of the 7 major policies. Middle school teachers felt more positive than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overall effects of the policies. In all of the seven polici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2010. In 2016,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found for policies on NEAT, TEE and native speakers,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r policies o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level differentiated classes, intensive teacher training, and classrooms for English classes. In-depth interviews indicate that the perceptual differences are likely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itself and educational conditions. English education policies are suggested reflecting the context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논의
VI.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On the Perception of Child Learners’ English Vowels in a Context of Minimal Input
- The Role of Task Types and Prior Word Knowledge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 중학생의 영어 문법용어 학습 경험 분석
-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에 대한 혼합 연구 방법론적 접근: 동기에서 탈동기
- How Much Vocabulary is Necessary for the Englis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초등영어 창의성 교육을 위한 알파벳 그림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