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영어 문법용어 학습 경험 분석
이용수 69
- 영문명
- Another investigation into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of 10 basic grammatical terms in their study of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범(Yoo, Beo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7권 4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n and how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d 10 basic grammatical terms. It is follow-up research of Yoo (2017) and examined the students who stated they did not comprehend one or more terms among the 10 grammatical terms in the same surve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total of 141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were not eligible as subjects for Yoo’s (2017) research.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SAS to compute both basic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confirmed Yoo’s (2017) four findings: (1) learning grammatical terms through private English teaching while in elementary school can be a crucial factor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terms; (2) comprehending grammatical terms require a long period of time for many students; (3) many students are able to comprehend grammatical terms mainly through the help of private teaching; and (4) the contribution of English class at school to students’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terms is quite lo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be revised such that they can allow grammatical terms to be learned effectively in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On the Perception of Child Learners’ English Vowels in a Context of Minimal Input
- The Role of Task Types and Prior Word Knowledge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 중학생의 영어 문법용어 학습 경험 분석
-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에 대한 혼합 연구 방법론적 접근: 동기에서 탈동기
- How Much Vocabulary is Necessary for the Englis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초등영어 창의성 교육을 위한 알파벳 그림책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