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5세기 名勝에 대한 題畵詩의 표현방식과 그 의미
이용수 155
- 영문명
- The expressions and meaning of the painting poetry about a scenic spot on the 15th centur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박혜영(Park, Hae-you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7輯, 117~1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5세기 名勝에 대한 題畵詩를 대상으로 그 표현방식과 의미를분석한 것이다. 15세기는 館閣文人을 중심으로 제화시가 성행하던 시기다.
또한 조선 초 각종 지리지 편찬과 지도 제작, 집경시의 유행은 명승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5세기 名勝圖 題畵詩는 당대명승이라 불리던 공간의 상징성이 集積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명승이 그림으로, 다시 시로 읊어지면서 勝景이라는 인식이 강화되고 그 장소에 얽힌 敍事가 구체화되었기 때문이다. 15세기 명승도 제화시를 남긴 문인은
이승소, 서거정 등이 있다.
이는 명승에 대한 題詠詩와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실제 景物을 대상으로 한 명승 제영시는 그곳에서의 개별적 經驗과 이것이 불러일으키는 개인적 抒情이 주된 내용인데 반해, 명승을 그린 그림을 소재로 삼은 명승도 제화시는 명승에 대한 상징 의미와 이를 公的으로 향유하려는 집단의 식을 강하게 표출한다. 또한 그림의 소재인 명승의 성격, 즉 원래 주어진 自
然 그대로의 풍광인지, 사람들이 2차적으로 부여한 의미에 따른 人文 경관인지에 따라 시의 주체가 달라진다. 자연풍광의 경우 명승이 그림과 시의 창작을 촉발시키는 주체로 작용하여 그 형승의 모습을 재현하고, 인문경관의 경우 명승 속 人物과 文物이 주체가 되어 명승에 이미지를 입히고 의미를 부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s and meaning, focusing on the painting poetry[題畵詩] about a scenic spot on the 15th century. The 15th century was a period when painting poetry was active, centering on the
Gwangak(館閣) literary person[文人].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 interest in scenic spot was increased. In this atmosphere, the painting poetry of a scenic spot-picture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symbolism of the space called the scenic spot at that time. As the scenic spot is created in paintings and again in the poetry, the perception that it is a masterpiece is strengthened and the narrative enclosed in the place is
embodied. The literary person who left the painting poetry about a scenic spot on the 15th century were Lee Seung-so(李承召) and Seo geo-Jeong(徐居正).
This is more prominent when compared to the place poetry[題詠詩]. The place poetry about a scenic spot focuses on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feeling. O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poetry about a scenic spot strongly
expresses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it. In addition, as the type of scenic spot, the painting poetry has a different subject. In the case of natural scenery, the scenic spot acts as a subject that triggers the creation of paintings and poetry, and reproduces the figure of it.
In the case of human scenery, scenic characters and artifacts become the subjects that give the scenic spot images and meaning.
목차
1. 서 론
2. 15C 名勝圖 題畵詩의 형상화 과정
3. 15C 명승에 대한 題詠詩와 題畵詩 비교 분석
1) 자연풍광, 朴淵瀑布
2) 인문경관, 箕城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