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Education Discourse on
as a Lie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류수열(Ryu, Su-yeol)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7輯, 419~4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charm of (The Story of Rabbit) in which the two characters who succeeded in deceiving the other side by lying. To this end, we focused on various ending
structures and repeated version derivatives. In contrast to the general narrative grammar of a classic novel in which a good man ends up through trials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a good man who appears as a hero or a smartass and
an evil man who interferes with him, there is no such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Nonetheless, was popular among readers of that times because it seems that the evaluation of the two characters’ lies has a
broad spectrum. Because they were able to make various evaluations of their lies, different versions with its various endings, was once again derive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ssue of how to be invited and how it is enjoyed with the youth readers of today. is included i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nds to be accompanied by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an evaluation of personality and theme consciousness implied by various ending
structures. This i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ctivities’.
목차
1. 논의의 목적
2. 거짓말 서사로서의 <토끼전>
3. 거짓말쟁이들에대한문학교육적담론의 특성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홍합 』과 여수지역어의 음운론적 특징 연구
- 현대국어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확산의 역사성과 공시적 언어규범
- 감정의 절제를 통한 연애로의 비약과 『동아일보』 연재소설의 방향성
- 사회적 관계에서의 호칭어 사용 실태 및 문제점 개선 방안
- 이색 시문에 나타난 불교인식의 두 방향과 표현 정서의 양상
- 원두표 관련 이야기의 주된 양상과 그 의미
- 박두진 시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연구
- 미주 한인 국어 교과서 ‘『 됴션말 독본』첫 책, 『됴션말 교과셔』 둘재 책’의 표기법 고찰
- <균여전>의 서사적 전통과 변주
- 청소년시의 문학교육적 가치
- 언어ㆍ문학ㆍ문화연구:
- 『한국어 공교육 교육과정』변화와 개선 방향
- 플롯의 의미와 진실의 발견
- 전북지역 소단위 마을의 傳來地名과 漢字 借用과의 관계
- 거짓말 서사로서의 <토끼전>에 대한 문학교육적 담론의 특성 연구
- 간도지역의 홍범도 서사담 연구
- 일제강점기 청주의 극장 ‘앵좌’와 극 공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