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n Park Doo-jin’s Poetr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윤정(Kim, Yun-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7輯, 331~32쪽, 전체 -29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ext is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aspects of Park Doo-jin’s community consciousness in his mid-term poetry which deals with humans and society.
For this purpose, I checked the character of the composition of Park Doo-jin’s poetry. It has always been characterized by the contradiction of negative reality and a willingness to confront it,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opposing ones eventually transcend reconciliation. In particular, the dynamic imagination shown in the process of reaching such a state has differentiated Park Doo-jin from other poets.
Park s Doo-jin’s willingness to overcome negative life has been exerted in the face of all the challenging circumstances, which is due to his belief in the resurrection of a Christian. The thougt of Jesus’ revival supported by Jesus’ historical existence enabled Park Doo-jin to maintain a bright and hopeful tone in any gloomy situation. In addition, such resurrection ideas, which are revealed to be the willingness to overcome a negative life, were made to have a vision of a democratic republic as a horizontal community consciousness.
Democratic Republic is a combination of democracy and Republicanism, which is unlike formal democracy, implies practical and public democracy in terms of economic equality and equal human rights of all citizens. Korean society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he sense of community that it should maintain as a republic, as the continuous dictatorship in Korea has forced Korean people to obtain formal democracy instead of practical and public democracy. For this reason, it was very radical and significant that Park Doo-jin called for economic
and human rights equality in the 4.19 revolution, shouting Democratic Republic.
That is not only the confirm of popular sovereignty but also the show of national ideal of building an equal state based on it.
In this period, it was due to his thought of the early church community that Park Doo-jin was able to maintain a horizontal community consciousness. The early Christian church considered everyone in God s faith not discriminated by conditions but as a family. The primitive communistic ideals practiced in Christianity were realized as national visions of Park Doo-jin starting with 4.19.
목차
1. 서론
2. 박두진 시의 구성상의 특징
2.1. 상징어의 대립적 구사
2.2. 이미지의 역동적 전회
3. ‘부활’ 의식과 현실 극복 의지
4. 원시공동체적 사회사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홍합 』과 여수지역어의 음운론적 특징 연구
- 현대국어 ‘바래-’(望) 용언 부류들의 확산의 역사성과 공시적 언어규범
- 감정의 절제를 통한 연애로의 비약과 『동아일보』 연재소설의 방향성
- 사회적 관계에서의 호칭어 사용 실태 및 문제점 개선 방안
- 이색 시문에 나타난 불교인식의 두 방향과 표현 정서의 양상
- 원두표 관련 이야기의 주된 양상과 그 의미
- 박두진 시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연구
- 미주 한인 국어 교과서 ‘『 됴션말 독본』첫 책, 『됴션말 교과셔』 둘재 책’의 표기법 고찰
- <균여전>의 서사적 전통과 변주
- 청소년시의 문학교육적 가치
- 언어ㆍ문학ㆍ문화연구:
- 『한국어 공교육 교육과정』변화와 개선 방향
- 플롯의 의미와 진실의 발견
- 전북지역 소단위 마을의 傳來地名과 漢字 借用과의 관계
- 거짓말 서사로서의 <토끼전>에 대한 문학교육적 담론의 특성 연구
- 간도지역의 홍범도 서사담 연구
- 일제강점기 청주의 극장 ‘앵좌’와 극 공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