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Signification of Government Agreement regarding Revision of Investigative Authority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s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박용철(Park, Yong Chul)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30卷 第2號, 37~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June 2018, the governmental delegate including Prime Minister, two ministers from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reached an agreement regarding revision of investigative authority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s. The main points of the Agreements are (1) the Police is going to have the full authority to investigate crimes without interference/supervision from the Prosecutions prior to committing the case to the Prosecutions, (2) Giving away the prosecutorial jurisdiction over investigation to the Police. The
Agreement necessarily involves lots of amendments regarding the investigative power structure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s.
However, at the moment, the Agreement lacks both details regarding what positions need to be taken for the better of both investigative agencies and any possible revisions in constitutional law as well as criminal procedure. At the same time, the Agreement is being criticized to be an aggravating factor between the two agencies because it does not give any solution to fix the power structure issue when the Police refuses to follow
the order or request made by the Prosecutions regarding the on-going investigations. In this Article, the writer tries to pinpoint the loopholes existing in the Agreement.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합의안 전제 사항에 대한 논의
Ⅲ. 합의안에 대한 평가
Ⅳ. 국회 계류중인 법률(안)에 대한 논의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刑 事 政 策 제30권 제2호 목차
- 한국 형사사법제도에서의 견제와 균형 원칙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일고
- 미투(Me Too)운동이 야기한 형사법적 쟁점 검토
- 검·경 수사지휘 논의에서 잊힌 문제-특별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 경찰 수사개혁의 성과와 과제
-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 검․경 수사권 조정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합리적 대안 모색
-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 사법경찰관의 ‘1차적 수사종결권’의 법제화 방안
-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